학술논문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이용수 36
- 영문명
-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Center of Pressure and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Shoe s Heel Heights & Bag Weights during Gait of Obese Women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현승현(Hyun, Seung-Hyun) 이애리(Lee, Ae-Ri) 류재청(Ryew, Che-Chung)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41~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비만여성들의 높은 구두 힐 착용과 가방무게 증가에 따른 보행동작 시에 지면에서 발생하는 수직지면반력과 압력중심경로(좌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행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 여성 5명(신장: 167.64±1.69cm, 연령: 22.20±1.78yrs, 체중: 63.30±16.24kg, 발 길이: 23.73±0.96cm, 발폭: 8.80±0.69cm)으로 BMI 29.46±4.72kg/m2 이상의 여성들이었다.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여 샘플링율은 1000Hz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변인은 지면반력에서 수직지면반력과 전후지면반력, 압력중심경로(좌우)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보행동안 전후지면반력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하지만 수직지면반력(Fz)은 가방무게증가와 9cm 구두 힐 착용 시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상관관계 분석은 COP(X)와 수직지면반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0cm 보행은 정상보행과 다른 COP(X)경로를 보였고, 9cm 구두 힐 보행은 직선적인 경로를 나타내었다. [결론] 따라서 비만 형태는 보행 동작 시 신체 운동의 가속과 감속운동, 신체 안정성 유지를 담당하는 하지 근골격계 기능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P(X)pathway & GRF(Fz) according to shoe s heel heights & bag weights during the gait of obese women. [METHOD] Participants selected as subject consist of young women(n=5) in 20 s age(height: 167.64±1.69cm, age: 22.20±1.78yrs, body mass: 63.30±16.24kg, foot length: 23.73±0.96cm, foot width: 8.80±0.69cm), divided into 4 bag weights(0kg, 1.5kg, 3kg, 5kg) and walked with 2 types of shoe s high- heel(0cm, 9cm). A force-plate was used to collect GRF(AMTI OR6-7) data at a sampling rate of 1000Hz, and analyzed variables during gait were GRF(Y, Z) and COP(X) during gait. [RESULT] The horizontal shear of GRF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gait(p>.05). But the vertical GRF showed the relative higher according to increase of bag weights and in particularly 9cm shoe s heel(p<.05).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P(X) and GRF(Fz), 0cm walking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way of COP(X) in normal walking and 9cm shoe‘s heel showed linear relationship in pathway during gait.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besity can particularly affect musculoskeletal function of the lower extremity to accelerate or decelerate gait motion and kept gait balanc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