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이용수 21
- 영문명
- Muscle Activity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 Subjects with or without Scapular Winging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신윤아(Shin, Yun-A)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141~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이 연구는 어깨뼈 익상을 가진 환자와 정상인을 비교하여 재활운동 동작 시 어깨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고 재활운동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대상자들은 20~30대의 남자대학생들로 총 40명이 참여하였으며, 정상군(24.70±1.38세) 20명과 어깨뼈 익상군(26.88±1.73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깨뼈 비대칭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SUP, SSTP, LSST2, LSST3의 임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재활운동 7가지 동작에 대한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어깨뼈 위치 검사 결과는 SSUP, SSTP, LSST2, LSST3에서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깨뼈 익상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재활동작에 따른 근활성도는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과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에서 아래등세모근 활성도와 UT/LT비율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ush-up plus 동작에서는 앞톱니근 활성도가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고, push-up on the ball에서는 UT/SA비율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UT/LT비율이 가장 좋은 동작으로는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동작으로 나타났으며, UT/SA비율이 가장 좋은 동작으로는 standing dynamic hug, push-up plus, push-up on the ball동작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반적으로 어깨뼈 익상군은 어깨 재활운동 동작에서 위등세모근의 과발현과 아래등세모근 및 앞톱니근의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깨 재활운동 동작 시 이러한 불균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동작들을 선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cle activity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 subjects with or without scapular winging. [METHODS] 40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to 30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24.70±1.38years) and scapular winging group(26.88±1.73years). The subjects performed SSUP, SSTP, LSST2, LSST3 of clinical test for determine the asymmetry.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anterior serratus during 6 rehabilitation exercise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SUP, SSTP, LSST2, LSST3. Lower trapezius activity and UT/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Anterior serratus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on push-up plus and UT/S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push-up on the ball. The exercises of standing dynamic hug, external rotation, press-up with scapular retraction were found to be the effective on UT/LT ratio and dynamic hug, push-up plus, push-up on the ball were found to be the effective on UT/SA ratio. [CONCLUSION] The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upper trapezius and lower in the lower trapezius and anterior serratu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is needed to improve for muscle balance and trainer should have a preference for exercise with high activation of the LT and SA and low activity of the UT.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