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이용수 19
- 영문명
- Development of Regression Equation of Impedance Body Fat Using Physical Information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홍용(Hong, Yong) 김용권(Kim, Yong-Kweon) 김동문(Kim, Dong-Moon)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23~3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신장과 체중을 이용한 BMI법으로 비만도를 측정할 수는 있지만 체지방률을 측정할 수는 없다.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이 개발된다면 체중감량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체지방률을 주기적으로 검사함으로써 체중감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장과 체중, 허리둘레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총 2,157명(남 1,057명, 여 1,100명)이 종합검진을 받는 과정에서 오전 8-9시에 체지방 측정이 이루어졌다. 신장과 체중은 Fanics FA-94H를 사용하였고, %체지방은 Inbody 3.0을 사용하였으며, 허리둘레는 줄자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10.0을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p<.05). [결과] 연구분석을 위해 엉덩이둘레와 BMI 등의 다양한 변수를 삽입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신장과 체중, 허리둘레를 이용하여 공식에 삽입한 결과 [%BF = K+X1×신장+ X2×체중+X3×허리둘레]와 같은 추정식이 산출되었다. [결론]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체지방률을 검사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신체정보를 이용한 추정식으로 임피던스에 의한 체지방률을 추정하는 것은 체중감량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gression equation of impedance body fat using physical information. Using height and weight, We can know one s obesity status of BMI. However we don t know %body fat. If we can check percentage body fat using physical information, It will be aided for reducing body weight. [METHOD] The subjects were 2,157(male 1,057, female 1,100) persons. We did the test at 8~9 A.M. We used the Fanics FA-94H for height/weight and the Inbody 3.0 for % body fat, and the tape measure for waist circumference. Data were analyzed to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AS program 10.0 for Window. [RESULT] The results were no significant change among various factors involving hip circumference and BMI. However the result involving circumferences of height, weight and waist, we can got the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 as generation and sex. We concluded that the regression equation was [%BF = K+X1×Height +X2×weight+X3×waist]. [CONCLUSION] Asians have higher body fat percentage at a lower BMI compared to Caucasians. So We think the regression equation on % body fat should be changed as a ethnicity. We wish to help check the % body fat very easily who want to control body weight.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