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이용수 14
- 영문명
- Comparison of Changed on Saliva Cortisol according to Skill Level and Gender during Paragliding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최종인(Choi Jong-In) 김기홍(Kim, Ki-Hong)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6/156880.jpg)
국문 초록
[서론] 본 연구는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호르몬인 타액코티졸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H대에 다니는 학생들로 패러글라이딩 경험이 적은 초보자 10명(여 5명, 남 5명)과 페러글라이딩 경험이 많은 숙련자 10명(여 5명, 남 5명) 총 20명을 선정하였다. 타액시료는 총 3번을 하였는데 당일 패러글라이딩 장소에서 이륙전, 패러글라이딩 중, 패러글라이딩 착륙직후에 시료를 하였다. [결과] 전체적인 경향으로 볼 때, 패러글라이딩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의 타액코티졸 수치는 유의하게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집단은 초보집단보다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의 타액코티졸 수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모두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의 타액코티졸 수치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1, p=.001). 또한 남성집단은 여성집단보다 패러글라이딩 시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의 타액코티졸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p=.001) 두 집단 모두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의 타액코티졸 수치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1, p=.001). [결론] 패러글라이딩 시 타액코티졸의 수치는 이륙전, 비행중, 착륙후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경험이 많은 숙련자일수록,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이 패러글라이딩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is research is aimed at analyzing changes of saliva cortisol, which is a stress-related hormone,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paragliding and gender. [METHOD] A total of 20 students of H University in Choong Nam Province were selected used for the research this study. Ten of them subjects(five females and five males) were novices at paragliding and the other ten (five females and five males) were skillful at it. Samples were taken three times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flying, and right after immediate landing. [RESULT] In general, the level of saliva cortisol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paragliding and after landing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significantly(p=.001). In the case of the skillful group, their level of saliva cortisol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flying, and right after land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beginner group. However, the level of saliva cortisol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flying, and right after landing tended to in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both groups(p=.01, p=.001). Also, the level of saliva cortisol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flying, and right after landing in the male group was higher than of the female group(p=.001), whereas both groups tended to have statistically increased level of saliva cortisol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paragliding and after landing(p=.01, p=.001). [CONCLUSION] The level of saliva cortisol in paragliding tends to go up gradually in the order of before taking off, during the flying and after landing, but more experienced people and females rather than males are thought to have a lower stress factor related to the paraglid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절차 및 측정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