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이용수 381

영문명
Study on the Need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Focus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Writing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장서란(Jang Seola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6호, 47~7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교양 국어 수업에 있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미디어 리터러시는 디지털 정보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필수 능력이며,특히 교양 국어로서의 이공계 글쓰기는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교양 국어 수업은 학술적 글쓰기의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이에 따라 논리적인 쓰기를 위해서는 읽기가 전제되어야 하며,읽기·쓰기의 디지털화에 주목하여 글쓰기 수업에서 ‘읽기’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수행되어야 함을 서술하였다.또한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매체 ‘쓰기’ 교육에 매체 ‘읽기’ 교육을 더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마지막으로 급속도로 변화하는 과학적 사실 관계의 변화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으로 포함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능동적인 자료 탐색 및 정보의 신뢰도 평가의 필요성을 메타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을 서술하였다. 매체적 맥락을 읽고 비판적 사고를 배양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병행함은 정치적 사회화로서의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추구하는 교양 국어 수업의 목적과 효용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need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Media literacy is an ability that is necessary for living in a digital information society,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this is because we want to keep pace with the times. First,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provides the basis for academic writing, and for logical writing, reading is a prerequisite. Therefore, focusing on the digitization of reading and wri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reading” dimension must be carried out in writing lessons within Korean language as liberal arts courses. In addition, media literacy abilities can be cultivated by adding the training in digital “writing” media and in “reading” media provid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classes. Finally, by including the rapidly evolving development of scientific affairs in the education of media literacy, it is possible to meta-present the need for lively and active navigation of reference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credi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of media literacy, which cultivates critical thinking in the context of the media, will contribute to the purpose and us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which pursue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s a type of political socializ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이공계 글쓰기 교재 개선 방향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서란(Jang Seolan). (2020).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리터러시 연구, 11 (6), 47-77

MLA

장서란(Jang Seolan).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리터러시 연구, 11.6(2020): 4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