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이용수 238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ultural Literacy: A Critical Analysis of Educational Goals of Performance Art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기란(Kim kira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6호, 703~72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에서는 2011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마련한<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중 연극 분야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 살펴보고,그것을 윤리적 가치를 함양한다는 문화 리터러시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했다.문화예술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 된다는 관점과 문화예술의 내적 원리를 활용하여 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구현하려는 도구적 관점이 팽팽히 맞서며 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을 규정하려는 논의가 활발하다. 이 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전제와 의미가 예술전문가를 위한 교육이 아닌 일반인을 위한 보편적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문화예술교육은대체불가능한 문화예술만의 존재가치와 의미를 통해 우리 모두의 삶에서 기본적인사회적 학습이자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연극 분야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살펴보았다.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중 연극 분야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수직적 문화 활동과 수평적 문화 활동이 결합되어 설정되어 있지만,교육의 목표가 이미 완성된 공연작품을 분석하여 이해하는 수직적 학습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들이다.연극의 내적 구성 요소인 언어와 움직임,연극의 무대적 요소,청각적 요소,시각적 요소를 통해 연극작품을 분석하고 만들고 감상하고 그것을 말과 움직임을 통한 자기표현으로 확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이는 일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두 가지 관점 곧예술적 성취와 교육적 실천 모두를 아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다양한 양식으로 진화해 온 연극이라는 예술 장르의 본질적 존재가치를 담아내지는 못한다. 이 글에서는 공감,곧 감각의 전이 혹은 나눔을 연극만의 고유한 대체불가능한 본질로 전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극 분야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지향점에 대해 고찰했다.특히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감각적 지각을 나의 것으로 체현하며 사회적 행동으로 연결하는 사회적 미메시스,자기변화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정동상태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문화예술을 능동적으로 향유하고 자기표현 및 사회적 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하는것이 문화 리터러시의 학습이자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라고 한다면,연극이 만들어지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문제의식을 공유하고,그것을 자기성찰을 통해 도덕윤리적 심미력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 학습을 위해 선택되는 연극이 다양해야 한다.특히 연극은 곧 드라마라는 편협한 장르 인식을극복해야 한다.문화예술교육이 수평적 문화 활동을 추동케 하고,예술만이 가능케하는 도덕윤리적 심미력을 함양케 해야 한다면,교수자에게 익숙한 안정된 대상에 안주하기보다,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과 목표에 맞는 학습 재료를 탐구하고 연구하는자세가 우선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go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ater was examined among the prepared by the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in 2011, and critically considered it in terms of cultural literacy to cultivate ethical values. There are two viewpoints ; one of which is that the being of culture and art itself is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other is the instrumental viewpoint to implement the meaning and goal of education by utilizing the inner principle of culture and arts. They are tightly opposed, so discussions to define the ident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 active. In this article, the premise and meaning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 considered not for art experts but for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ater is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a basic social learning and education in our lives through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existence of culture and arts that can not be replaced. The go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garding the field of theater from the is set by comb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cultural activities, but it is possible based on vertical learning that analyzes and understands performance works that have already completed the goal of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contains contents that analyze and create and appreciate theatrical works through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ater such as language and movement, stage elements of theatre, auditory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and expand them into self-expression through words and movements. This seems to encompass both artist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practice, which is the two perspectives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aims at at first, but it does not contain the essential value of the art genre of theater that has evolved into various styles. In this article, the transfer or sharing of sensibility(empathy) is assumed as the unique irreplaceable essence of theater, and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ater was considered. Especially, I examined the social mimesis connecting to social behavior that embodies sensory perception based on self-reflection as my own and affect that operates as a power of self-change. If it is the learning of cultural literacy and the go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enjoy the culture and arts actively and to use it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atre and to experience them with moral aesthetics through self-reflection. To do this, there must be various theatres selected for learning culture and arts, especially we must overcome the narrow genre perception that theatre is drama. I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promote horizontal cultural activities and cultivate moral and ethical aesthetics that only art can do,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study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identity and goal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her than resting on stable objects familiar to the instructor.

목차

1. 문화적 문해력과 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
2. 수평적 문화 리터러시, 연극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3. 미메시스와 사회적 미메시스, 연극 문화예술교육의 한 본질
4. 감정에서 정동으로, 도덕윤리적 심미력, 연극 문화예술교육의 한 지향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란(Kim kiran). (2020).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리터러시 연구, 11 (6), 703-729

MLA

김기란(Kim kiran). "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리터러시 연구, 11.6(2020): 703-7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