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과 제국의 교차로, ‘역(驛)’의 문학사

이용수 91

영문명
The intersection of colonial and empire, the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station -Focusing on the “Daejeon St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한상철(Han Sang-chul)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07輯, 211~2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00년대 초반 철도 개통과 함께 세워진 대전(大田)은 이주민이었던 일본인들의 기득권이 구현된 ‘신흥 도시’였다. 기차역을 사이에 두고, 일본인 상점가와 ‘신사(神社)’가 마주 보는 형국으로 시가지가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유곽’으로 대표되는 향락과 ‘신사’로 상징되는 망향의 공간 구축은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화 과정이 반영된 결과다. 이런 의미에서 20세기 전반 대전역의 변모는 일본이 만들어낸 ‘식민 도시’의 폭력성을 압축해 놓은 축도(縮圖)라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강점기 대전의 지정학적 구도를 전제하면서, 1920년 전후 대전의 명암을 재현한 한국과 일본의 텍스트를 검토하려는 데 있다. 1917년 다나카 레이스이(田中麗水)가 간행한 『大田發展誌』에 묘사된 대전의 발전상은, 1920년대 초반 염상섭이나 우치노 겐지 같은 식민지 문학장의 작가들이 재현해 놓은 대전의 타락상과 명백하게 대비된다. 제국의 변경에 세워진 ‘신흥 도시’를 바라보는 상반된 입장과 그 문맥을 검토하는 일은 대전의 초기 도시사(都市史)를 재구성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구더기가 끓는 무덤’(염상섭)으로 묘사되었다가, ‘흙담’으로 둘러싸인 미개척지(우치노 겐지,內野建児)로 재현된 대전은, 다나카 레이스이와 같은 일본인 정착민들이 외면했던 ‘식민 도시’의 민낯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시기를 달리하여 해방 이듬해의 대전역을 불러낸 채만식은 대전이라는 도시에 새겨진 식민의 상처가 사라지지 않았음을 예리하게 묘파한다. 일본인들은 떠나갔지만, 그 자리에 드리워진 냉전의 그림자 속에서 대전역은 여전히 제국주의의 굴레에 갇힌 ‘음산한 정거장’으로 남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Daejeon, established with the opening of the railroad in the early 1900s, was a ‘emerging city’ in which the vested rights of Japanese migrants were thoroughly embodied. This is because the city was built in the form of a Japanese shopping street and ‘shinsa’ each other with a train station in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of enjoyment represented by ‘Yugwak’ and of mangyang, symbolized by ‘shinsa’, reflects the process of colonial urbanization in Imperial Japan. In this sense, the transformation of Daejeon St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regarded as a condensation of the violence of the ‘colonial city’ created by Japan. The primary intention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Korean and Japanese texts that reproduced the contrast of Daejeon around 1920, presuming the geopolitical composition of Daejeon during the period of the occupation. The development of Daejeon, described in 『Daejeonbaljeonji』 published in 1917 by Reisui Tanaka, clearly contrasts with the corruption of Daejeon, which colonial writers such as Yeom Sang-seop and Uchino Genji reproduced through literary works in the early 1920s. do. By examining the contradictory position and context of looking at the ‘emerging city’ established by the imperial change, we attempt to reconstruct the early city history of Daejeon. Daejeon, depicted as a ‘tomb of boiling maggots’ (Yom Sang-seop), and recreated as an unexplored land surrounded by ‘soil walls,’ (Uchino Genji, 內野建児), is a ‘colonial city’ that Japanese settlers such as Reisi Tanaka turned away from. It was a place that typically embraces the naked face. Chae Man-sik, who called Daejeon Station in the year following liberation at different times, sharply culminates in the wounds of colonists in the city of Daejeon. The Japanese have left, but in the shadows of the Cold War over there, Daejeon Station remains a ‘dark station’ trapped in the bonds of imperialism.

목차

1. 철로 위에 건설된 도시
2. ‘동화(同化)’와 이화(異化)의 장소들
3. 대전역을 둘러싼 두 시선
4. 단절된 교차로에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철(Han Sang-chul). (2021).식민과 제국의 교차로, ‘역(驛)’의 문학사. 어문연구, 107 (1), 211-238

MLA

한상철(Han Sang-chul). "식민과 제국의 교차로, ‘역(驛)’의 문학사." 어문연구, 107.1(2021): 211-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