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이용수 9

영문명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Mt. Jangsa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남정칠(Jung-Chil Nam) 박승범(Seung-Burm Park) 김석규(Seok-Kyu Kim) 윤상복(Sang-Bok Yoon)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9 No.5, 2599~26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민들의 중요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장산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특성, 식생분포, 우점도, 상재도, 종다양도, 유사도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식생분포는 곰솔-소나무군락이 40.9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24.79%,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 5.42%, 굴참-진달래 군락 1.57%, 졸참-상수리나무 군락 1.14%의 순이었으며, 이대군락은 0.06%로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2) 우점도는 교목층에서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높았으며,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때죽나무, 곰솔, 사스레피나무 등이 높았다.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 국수나무, 생강나무 등이 높았고, 초본층에서 족제비고사리, 개고사리, 조개풀 등이 높았다.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참나무류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3) 출현빈도가 높은 고상재도종은 개고사리, 개옻나무, 곰솔, 국수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싸리나무, 족제비고사리, 졸참나무, 좀쇠물푸레, 진달래, 청미래덩굴 등이었으며, 곰솔과 사스레피나무는 모든 조사구에 출현하여 상재도가 100%로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4) 출현종수는 조사구1이 2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조사구10이 12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제5조사구인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에서 종다양도지수가 2.60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10조사구인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에서 종다양성지수가 1.868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모든 조사구에서 종다양도지수가 높게 나타나 조사지역의 종다양성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device through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in Mt. Geumjeong. Ten belt transects of quadrat(20m 20m) were sampl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Vegetation Distribution is indicated 40.95% in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24.79% in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5.42% in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1.57% in Quercus variabilis-Rhododendron mucronulatum, 1.14% in 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0.06% in Pseudosasa japonica.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in the overstory tree layer,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us,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in the understory tree layer, and Eurya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Lindera obtusiloba in the shurb layer, Dryopteris bissetiana, Athyrium niponicum, Arthraxon hispidus in shurb layer are shown respectively as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ground survey. Pinus thunbergii is getting less,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is getting more.Constant Species is Athyrium niponicum, Rhus tricocarpa, Pinus thunbergii, Stephanandra incisa, Styrax japonicus, Eurya japonica, Lespedeza bicolor, Quercus serrata, Fraxinus sieboldiana, Rhododendron mucronulatum, Smilax china. Constancy of Pinus thunbergii and Eurya japonica are indicated 100%.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Transect5 2.6092 is highest,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Transect10 1.8685 is lowest.

목차

1. 서론
2. 연구내용 및 방법
3. 결과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정칠(Jung-Chil Nam),박승범(Seung-Burm Park),김석규(Seok-Kyu Kim),윤상복(Sang-Bok Yoon). (2007).장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 (5), 2599-2612

MLA

남정칠(Jung-Chil Nam),박승범(Seung-Burm Park),김석규(Seok-Kyu Kim),윤상복(Sang-Bok Yoon). "장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5(2007): 2599-26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