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BTI 심리유형 분석에 따른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성

이용수 146

영문명
Correlation between Self Image and Clothing Attitude Based on the Analysis of MBTI s Psychological Type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이영숙(Young-Sook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9 No.2, 647~65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매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고객에 대한 구매행동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인들이 느낀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성을 MBTI 심리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 성격유형별 소비자의 의복태도에 대한 기준을 발견하고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실용적 자료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선호지표별로는 외향(Extraversion : E), 감각(Sensing : S), 사고(Thinking : T), 인식(Perceiving : P)을 선호하였으며 인간관계나 일 처리 방식에 있어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기능유형(Function type)에는 감각사고형(ST), 가시적 행동특성, 취미, 업무처리 등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 기질에서는 감각판단형(Sensing Judging type : SJ)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친숙한 이미지, 화려한 이미지, 조용하고 단아한 이미지로 명명하였다. 자기 이미지와 MBTI 성격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 친숙한 이미지 및 화려한 이미지에서는 외향성이 조용하고 단아한 이미지에서는 내향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친숙한 이미지에서는 직관(N)과 감정(F),차원이 강하게 나타났고 화려한 이미지와 조용하고 단아한 이미지에서는 감각(S), 사고(T)차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단(J) 차원은 세 가지 이미지에서 모두 강하게 나타났다. 의복태도와 MBTI 성격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 의복과시형, 의복관심형, 의복동조형의 세 가지 행동유형에서는 외향적 성향과 판단(J)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의복과시형 유형에선 직관(N), 사고(T), 차원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의복관심형, 의복동조형 유형에서는 감각(S), 사고(T)차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have carried out a quantitative study to discover the criterion for costumers clothing attitud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 types and predict their consuming behavior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image and clothing attitude on the basis of MBTI s psychological types, which help to underst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various customers in order to satisfy their purchasing desi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Extraversion(E), Sensing(S), Thinking(T) and Perceiving(P) were orderly preferred in the preference index classification. Sensing/Thinking Type in Function Type that reflects differences in human relations and work habits were prominent and Sensing/Judging Type(SJ), in disposition that reveals differences in visibl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taste and work habit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has been named familiar , splendid and calm and graceful imag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image and MBTI s character types show that the familiar and splendid image strongly reveals extroversion whereas the calm and graceful image, introversion. Furthermore, in the familiar image Intuition(N) and Feeling(F) were strong, and in the calm and graceful image Sensing(S) and Thinking(T) were strong. The dimension of Judging(J) were prominent in all three types. I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attitude and MBIT character types, the disposition of extroversion and Judging(J) were strongly revealed in terms of three behavioral types toward clothing: Showing-Off, Interested and Following-Others. Intuition(N) and Thinking(T) were also dispositionally strong in the Showing-Off type, and Sensing(S) and Thinking(T) in the Interested and Following-Others typ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숙(Young-Sook Lee). (2007).MBTI 심리유형 분석에 따른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 (2), 647-658

MLA

이영숙(Young-Sook Lee). "MBTI 심리유형 분석에 따른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2(2007): 647-6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