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ave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East Asian Manufacturing Converged?

이용수 1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저자명
정세은(Se-Eun Jeong) 도이 야스히로(Yasuhiro Doi)
간행물 정보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4卷 第2號, 355~3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제가 통합되는 국가들 간의 산업구조와 생산성이 수렴하는가라는 주제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지만 주로 서구 선진국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동아시아의 경우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경제통합 현상이 비교적 최근에 나타났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가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동아시아 8개국, 제조업 16개 산업 부문을 대상으로 1982-2006년에 대해 제조업의 산업 구조 및 각 하위 산업에서의 생산성의 수렴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로서 본 연구는 크루그만의 전문화 지수, 생산성 변이계수, 생산성 베타-수렴도를 사용하였고 분석 자료로는 UNIDO(2011)가 제공하는 각 산업별 부가가치와 고용자 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생산성은 노동생산성 분석에 국한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산업 구조의 경우 지난 1982년∼2006년 사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제외한 5개국이 서로 수렴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노동생산성의 경우 몇몇 산업 부문에서는 수렴 현상이 있었지만 절반 이상의 산업 부문과 제조업 전체 차원에서 수렴 현상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시기를 세 개의 시기로 나누고 전체 국가를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집단으로 나누어서 다시 추정해보면 1996-2006년의 최근 시기와 한국, 중국, 일본으로 구성된 동북아시아에서 생산성 수렴 현상은 보다 뚜렷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구조의 수렴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의 비수렴 현상 나타나고 있고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생산성 비수렴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경제통합을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전체 차원에서 생산성의 수렴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공동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onvergence in both structure and productivity among 20 manufacturing industries in eight North and South East Asian countries. We employed the Krugman-Index of industry specialization, the modified Krugman-Index of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for structure convergence, as well as the beta and sigma-convergence concepts for productivity convergence as analytical methods and utilized the data of the value added and number of employees from UNIDO of UNCTAD (2011). From this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integration process in the East Asian region over the 1982-2006 period contributed to convergence in industry structure but failed in achieving productivity convergence at the regional and overall industry level.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sub-periods, sub-country groups and sub-industries. In the case of industry structure, convergence trend was the most pronounced during the 1982-1989 period while Thailand showed the fastest convergence over the entire period. In the case of productivity, some cases of beta-convergence was observed mainly for the 1996-2006 period while some cases of sigma-convergence did not concentrate on the specific sub-periods. On the other hand, the North East Asian group was estimated to experience productivity convergence especially over the entire period while the South East Asian group was no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n-convergence in productivity at the regional level, especially in the South East group, would be an obstacle for further integr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Survey
Ⅲ. Methodologies and Data
Ⅳ. Analysis Result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세은(Se-Eun Jeong), 도이 야스히로(Yasuhiro Doi). (2012).Have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East Asian Manufacturing Converged?. 동북아경제연구, 24 (2), 355-385

MLA

정세은(Se-Eun Jeong), 도이 야스히로(Yasuhiro Doi). "Have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East Asian Manufacturing Converged?." 동북아경제연구, 24.2(2012): 355-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