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마스 만의 교양소설 마의 산에서 시도된 팀티칭 교양교육 방법론과 융합 교양인상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a method of team teaching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on an image of cultured man as homo-viator in Thomas Mann’s Bildungsroman Magic Mountai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홍순희(Hong, Sunhi)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0권 제3호, 717~75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은 가장 유명한 독일 교양소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물론 독일 문학과 독일 소설의 역사에서 마의 산이 전형적인 독일 교양소설에 속한다고 할 경우 이론의 여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마의 산은 독일 교양소설로 분류될 수 있다. 토마스 만은 우리의 주인공 한스 카스토르프의 마의 산 교양교육을 위해 네 가지 유형의 교육자, 즉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쇼샤, 그리고 페퍼코른을 마의 산에 위치한 폐결핵 요양원으로 초대해서 카스토르프에게 팀티칭을 하게한다. 이들은 각각 homo-humanus, homo-scholasticus, homo romanticus, 그리고 Homo-Dei의 대변자로서 카스토르프와 교육자와 피교육자 관계를 형성한다. 우리의 영웅 카스토르프는 처음에는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사이에서, 그리고는 세템브리니와 쇼샤 사이에서, 그리고 마지막에는 쇼사와 페퍼코는 사이에서 팀티칭 교양교육을 받는다. 네 명의 교사들로부터 교양교육을 받은 후 공학도인 카스토르프는 인문주의적인 소양을 갖추고 상극적인 이원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그리고 대립적인 이원성의 양 극단을 오가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마침내 상극적인 것을 상생과 공생을 위한 긍정적인 요소로 활용한다. 결국 우리의 카스토르프는 융합적인 교양인으로서, 그리고 영웅으로서 자발적으로 참전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자기 주도적인 참전 결정이 마의 산 교양교육의 가장 중요한 교육 효과에 해당하고 작금의 대한민국 대학 교양교육을 통해 양성하고자 하는 교양인의 가장 중요한 역량 내지 덕목 중 하나에 해당한다.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토마스 만이 마의 산에서 도입한 팀티칭 교양교육의 방법론을 소개하는 것인데, 이 방법론은 팀티칭 교양교육이 활성화되지 않은 대한민국 교양교육의 현장에서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마의 산에서 팀티칭 교양교육을 받은 융합적인 교양인상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융합 교양인에게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량은 자기주도적인 결정 능력이다. 셋째 이 논문의 목적은 마의 산 교양교육을 통해 강화된 교양인의 역량을 발굴해서 제시하는 것인데, 이러한 역량들은 현재 대한민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교육의 목표 및 효과를 점검하는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omas Mann’s Magic Mountain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famous german Bildlungsromans. It is still controversial definitely to say that Magic Mountain is typical of Bildungsroman through the tradition of not only german literature in general, but also of german novel in particular. Typical or not, Magic Mountain is to be classified as Bildungroman anyway. In Magic Mountain are four types of educator invited to the sanitarium by Thomas Mann. They are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Hans Carstorp, our ordinary 23-year-old young man as homo viator. They are also the representatives of homo-humanus, homo-scholasticus, homo-romanticus, and Homo-Dei. Our hero, a marine engineer in the foreseeable future, is at first between Septembrini as homo-humanus and Napta as homo-scholasticus, and then between Septembrini and Chauschat as homo romanticus, at last between Chauschat and Peperkorn as Homo-Dei.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 by team-teaching of four teachers Castorp comes to overcome the duality like water and oil, to keep the sense of balance in the middle of two poles, and to make a positive use of duality for coexistence of the opposite. Finally our Castorp as the integrated hero makes an important decision to engage in the World War, even on his own initiative. His self-directed decision to join war is the most important effectiveness of ‘Bildung’ in the Magic Mount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lso 1. to provide a model of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in the Magic Mountain by Thomas Mann and could be applicable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2. to make an image of cultured young man who was educated by four different teachers in the Magic Mountain and could be integrated enough to go his own way, 3. to give some examples of capabilities which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Magic Mountain and could be a guideline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at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토마스 만과 마의 산 교양교육
3. 마의 산의 팀티칭 교양교육 방법론
4. 마의 산이 배출한 융합 교양인의 역량
5. 맺음말: 융합 교양인 homo viator의 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순희(Hong, Sunhi). (2016).토마스 만의 교양소설 마의 산에서 시도된 팀티칭 교양교육 방법론과 융합 교양인상 연구. 교양교육연구, 10 (3), 717-752

MLA

홍순희(Hong, Sunhi). "토마스 만의 교양소설 마의 산에서 시도된 팀티칭 교양교육 방법론과 융합 교양인상 연구." 교양교육연구, 10.3(2016): 717-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