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재고

이용수 68

영문명
Review on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 with priority given to the textbook and class reorganization case of a E Woman s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전지니(Jun, JeeN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0권 제3호, 655~69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016년부터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실시한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대학의 경우 그간 글쓰기의 공통 역량을 중시한 수업이 계열별 특성을 간과하여 학습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계열별 교재를 개발하고 수업 개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공교수와의 면담 및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 모든 계열의 전공교수가 신입생 대상 글쓰기 수업에서 전공 특성과 관련된 심화된 글쓰기를 요구하지 않았고, 공통적으로 사고력, 표현력과 관련한 기초 역량의 강화를 요청했다. 또한 교재 개편과 관련한 학생 설문조사에서도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처럼 전공별로 수용자, 교수자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대학 교재 편찬위원회는 교재 전반부, 곧 수업 전반부는 사고력과 표현력의 확장을 위한 기초 역량 강화를 강조했으며, 동시에 계열별 수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교재 후반부, 곧 수업 후반부는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글쓰기 실습을 진행할 계기를 마련했다. 그런데 계열별 교재를 발간하고 전공별로 구분되는 글쓰기 실습을 진행했지만, 기말고사를 대체하는 학술비평문의 주제 선택과 관련해 전공별로 두드러지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자연대 분반의 경우 주제 선택 면에서 전공 부합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음대 분반은 전공과 일치하는 주제보다는 대중문화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간호대 분반의 경우 주제의 전공 부합도가 월등히 높았지만, 이는 전공 수업에서 다룬 주제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전공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것이 학생의 창의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이를 감안한다면 향후 글쓰기 교육은 계열별 특성을 감안하되, 해당 분반 학습자의 요구 역시 수렴할 수 있는 ‘대화적’ 강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교수자가 수차례 학습자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단계적 창구를 마련하고 논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한다면, ‘특성화’의 취지를 살리는 동시에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곧 전공별로 요구되는 역량 외에 해당 집단의 고민과 관심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다면, 계열별 수업의 애초 취지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y academic track by investigating a case of a university that was located in Seoul and started to offer different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Meanwhile, writing courses focused on common writing competencies in this university, and the learners seemed to be dissatisfied with this type of educa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ademic tracks were overlooked. So the university attempted to develop different textbooks by academic track and to reorganize the existing courses.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who were responsible for writing education were inter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Every professor who offered writing education didn t require the new students to do advanced writing related to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majors. Instead, they asked them to strengthen basic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on textbook reorgan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Thu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s wasn 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cturers irrespective of major. Under the circumstances,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university put stress on fostering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faculty and expressiveness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first half of instruction, and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practice diverse sorts of writ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textbooks, namely in the latter half of instruction, in order to play up the intent of major-bas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in their choice of themes for term paper that replaced finals. The themes chosen by the natural sciences students were a far cry from their major, and the music students mostly discussed overall popular culture instead of choosing particular themes related to their major. The themes chosen by the nursing students were fairly well linked to their major, but it s needed to consider if an emphasis of relationship with major rather might result in limiting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because many of the them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the same as what they dealt with in their major courses, Give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rac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future, and it s required to pursue conversational lectures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at the same time. If lecturers keep listening to the voices of learners and reflect them in class,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play up the intent of specialization and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learners.

목차

1. 계열별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한 재인식
2. 계열별 글쓰기에 대한 전공교수와 학습자의 입장
3. E여대 글쓰기 교재 및 강의계획안 분석
4. E여대 수업 사례를 통해 본 계열별 글쓰기의 명암
5. 결론을 대신하여: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지니(Jun, JeeNee). (2016).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재고. 교양교육연구, 10 (3), 655-690

MLA

전지니(Jun, JeeNee).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재고." 교양교육연구, 10.3(2016): 655-6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