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에서 말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이용수 408
- 영문명
-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Liberal Arts Education - A Case Study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이동욱(Lee Donguk) 이연주(Lee Yeonjoo)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2권 2호, 445~4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말하기’ 관련 교과목의 개발 과정과 운영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말하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에서 말하기 교과목으로 <발표와토론>을 개발 및 운영하게 된 배경과 그로 인해 나타나게 된 교과목 운영의 특징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에서 <발표와토론> 교과목이 개설된 배경으로는 첫째, 최근 대학에서 ‘말하기’ 관련 교과목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한 점, 둘째, 핵심역량 교육이 강조되면서 말하기 능력이 중요한 역량진단 요소이자 의사소통능력의 핵심요소로 인정되기 시작한 점을 꼽을 수 있다. 기업이 인재선발을 위해 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고, 대학 교육의 초점이 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대학 교육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발표와토론> 교과목 개설의 계기는 K-CESA 핵심역량 진단 결과였다. 말하기 역량이 하위권으로 드러남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시급하게 말하기 관련 교육의 강화가 필요했다. 그 결과로 말하기 교과목으로 <발표와토론>이 3학점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개설되었다. 이러한 교과목 개설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발표와토론>은 이론(30%)보다는 실습(70%)의 비중을 가지도록 수업이 설계되었다. 실습은 개인발표, 토의, 토론을 균형 있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direction of speaking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aking-related cours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in the current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provide examples of the curriculum’s composition and operation. I will examine the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as a speaking subject at Konkuk University s Glocal Campus.
The following issues existed as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at our university. First, “speaking” as an academic subject gained in the importance at the university, and second,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y education, speaking skills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assessment factor and a key el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s companies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interviews in talent selec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goes from knowledge to a competency focus, the importance of speaking in university education has become apparent.
The K-CESA “core competency” diagnosis led to the launch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Because the K-CESA core competency diagnosis revealed that students’ speaking skills were sub-level,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speaking-related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the “Presentation and Debate” as a speaking subject was offered as a three-credit liberal arts compulsory course. To meet the purpose of the course’s establishment,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was designed with a larger proportion of practice (70%) than theory (30%). Hands-on exercises in class provided a balanced practical program of personal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debates.
목차
1. 서론
2.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배경
3. 국내외 대학의 말하기 교과목 운영과 교과개발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밀가루 풀의 보관온도에 따른 물성비교 연구
- 취약성-스트레스로 인한 조현병 유발요인 탐색
- 모바일 기반 한국어의 한자 어휘교육 콘텐츠 연구
- 풍류, 전통음악, 전래놀이와 함께하는 음악과 인문학 강의 분석
- 시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실용음악 악기 체험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적용
- 한국 대중문화산업에 나타난 ‘팬슈머’ 현상 연구
- 데이터 테크놀로지(DT)의 방송플랫폼 적용 방안 연구
- 도박, 풀가사리의 다당류(Polysaccharide) 추출 방법에 따른 문화재 접착제 연구
- 일본인들의 K-뷰티 선호도에 관한 감성언어 분석
-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심청전> 텍스트의 문제점
- 공휴일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고찰
- 대학생의 도덕 양심, 도덕 판단과 정치 성향의 관계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캠퍼스의 소리풍경 변화의 양상과 사회문화의 변용
- 맹자의 사단과 도덕 모듈성 가설
-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 연구
- 교양교육에서 말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 웹 기반 클리닉 운영 사례 및 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 『사사종교1911』에 나타난 금강산 방문기록 고찰
-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