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도 省峴道驛의 변천과 문학적 형상

이용수 83

영문명
The Transition of Seonghyeondo Station in Cheongdo and Literary Configurati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상동(Lee Sang Do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3집, 499~5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 때 교통의 중심지로 청도 역사와 정체성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는 省峴道驛의 변천과 문학적 형상을 살펴보고, 활용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淸道는 그 어원이 교통과 일정한 관련이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교통의 중심지로 명성이 높았는데, 이는 조선시대 嶺南大路 상의 주요 驛가운데 하나로 인근의 많은 역을 관할하고 察訪이 주재했던 省峴道驛의 위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05년 경부선 철도의 개통은 기존과는 다른 변화를 수반하였는데, 성현은 더 이상 예전처럼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게 된다. 경부선 철도의 개통을 전후하여 성현역을 중심으로 한 청도지역의 터널에는 총 6개의 額石이 남아있다. 청도지역에만 이렇게 많이 남은 이유는 최장거리에 해당되는 터널인데다 공사 당시부터 난공사지역으로 분류되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경부선 개통 전에 새겨진 1903년 淸安君 李載純의 ‘隱谷隧’와 1904년 당시 육군중장 寺內正毅(데라우치 마사다케)의 ‘代天成功’과 체신대신 大浦兼武(오우라가네다케)의 ‘福利千秋’는 초기 경부철도 부설과 관련된 인물들의 면면을 확인할 수 있어 철도사는 물론이고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성현의 문학적 형상은 이곳을 경유한 군수와 관찰사, 그리고 사신들이 남긴 한시와 최남선의 창가와 시조를 통해 그 대략을 살필 수 있다. 성현 일대는 역사와 문화를 갖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와인터널 이외에는 관심 밖으로 방치된 것이 사실이다. 살아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액석을 비롯한 관련 시설을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지정하여 보존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to look at the status and transfiguration, literary figuration and the ways to activate of Seonghyeon which is once judged to be the transportation hub and important place in history of Cheongdo. We can confirm that Cheongdo was a major transportation hub through the presence of Seonghyeondo Station which was one of the major stations on YeungNam Daero.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railway between Seoul and Pusan, Six stone plaque have been remained at the tunnel near Seonghyeondo Station. The reason why there are so many stone plaques only in Cheongdo area on the Gyeongbu line was that the tunnels was the longest ones and difficult to construct. We can see the literary figuration of Seonghyeondo Station through the poems of provincial governor, governor and envoy and we can look through the literary figuration of Seonghyeon tunnelthrough the Korean traditional poem of Choi Nam-Seon. It is true that the place around the Seonghyeon tunnel has been neglected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place in history and culture. It should be listed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to use as a venue for history educ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교통의 중심 省峴道驛
Ⅲ. 청도지역 철도 터널 額石의 의미
Ⅳ. 漢詩와 詩歌에 나타난 省峴의 형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동(Lee Sang Dong). (2019).청도 省峴道驛의 변천과 문학적 형상. 민족문화논총, 73 , 499-529

MLA

이상동(Lee Sang Dong). "청도 省峴道驛의 변천과 문학적 형상." 민족문화논총, 73.(2019): 499-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