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후 절충주의 문학비평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Post-War Compromise principle - Focused on Jeong Tae-yong -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명원(Lee, Myoung-W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2집, 331~3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평론가 정태용은 1950-1960년대까지 활동했던 이른바 전후세대 비평가였지만, 그에 대한 문학사적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1955년을 기점으로 재건된 이른바 전후 비평은 순수문학을 표방한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정태용 역시 <현대문학>에 대부분의 평론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태용이 <현대문학>의 순수문학 이념을 기계적으로 반복한 것은 아니다. 정태용은 중도파 혹은 절충파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그는 당대 비평계의 주요쟁점이었던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전통과 현대성,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을 둘러싼 논의에서 특정 유파의 입장을 지지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는 이 대립항의 양자 모두의 한계를 검토하면서, 중도적 혹은 절충적 비평론을 전개했다. 이는 정태용 특유의 균형감각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선명한 입장들이 경합하고 갈등하는 비평의 장(場)에서 이러한 태도는 피하기 주변화를 피하기 어렵다. 정태용의 비평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는 그가 한국현대시사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자 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한국 현대시사의 전개를 통시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그는 지속적으로 시인론을 발표했다. 분석의 시각이나 문학사적 평가 역시 충분히 타당한 설득력을 보여주었다. 아마도 이것이 정태용 비평의 역량이 잘 발휘된 부분일 것이다. 반면, 현장비평의 영역에서 정태용은 예리한 통찰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그 자신이 입법비평이라고 규정한 문예이론의 체계적 정리와 이를 통한 현장분석은 지나치게 원론적인 논의로 환원되곤 했다. 새롭게 생성되는 문학의 의미와 현실변화를 적극적으로 읽어내지는 못했기에, 정작 4.19 혁명 이후의 문학계의 새로운 흐름에는 둔감했다.

영문 초록

Literary critic Chung Tae-yong was a so-called postwar critic who served from the 1950s to the 1960s, but literary and historical research on him is very sketchy. The so-called post-war critique, which was reconstructed in 1955, revolved around “Modern Literature”, which advocated pure literature. Jung Tae-yong also published most of his reviews in “Modern Literature”. However, Chung Tae-yong did not mechanically repeat the pure literature ideology of “modern literature”. Jung Tae-yong has shown himself as a eclecticism critic. He showed no attitude in supporting the position of a certain faction in the discussion over pure literature and participatory literature, tradition and modernity,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which were the major issues in the criticism circles of the time. He developed a eclecticism critique, examining the limits of both sides of the conflict. This is judged to be Jeong s unique sense of balance. However, this attitude cannot be avoided in the face of criticism where sharp positions are competing and conflicting. The most notable achievement in Chung s criticism is the fact that he wanted to organize the modern history of Korea systematically. In particular, in order to organize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oetry, he continuously announced his theory of poetry. The perspectives of analysis and literary and historical assessments also showed sufficient persuasiveness. Perhaps this is the part where Jung s criticism is well-exercised.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on-site criticism, Jung Tae-yong failed to show keen insight. The systematic theorem and field analysis of literary theory, which he himself defined as a legislative critique, used to be returned to an overly original discussion. He was insensitive to the new trend of literature after the 4.19 revolution, as he failed to actively read the new meaning of literature and changes in reality.

목차

1. 절충주의 비평가 정태용
2. 한국 현대 시사(詩史)의 비평적 탐구
3. ‘입법비평’의 실천과 한계
4. 절충주의 비평의 한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원(Lee, Myoung-Won). (2019).전후 절충주의 문학비평 연구. 한국문학논총, 82 , 331-359

MLA

이명원(Lee, Myoung-Won). "전후 절충주의 문학비평 연구." 한국문학논총, 82.(2019): 331-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