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이용수 90

영문명
A study on ‘face’ representation in colonial time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신용목(Sin, Yong-M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2집, 225~25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에 쓰여진 시들의 ‘얼굴’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얼굴은 ‘자아’라는 내면과 ‘세계’라는 외부의 접점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표상적 실재성’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상이고, 은유와 환유는 시적 대상이 출현하고 배치되는 양상이다. 이 논문은 얼굴 표상이 시 속에서 구조화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식민지시대 시인들의 시적 인식의 한 측면을 조망하고자 한다. 세계와 자아에 대한 성찰과 고뇌를 이어가거나 당대 현실을 유이민적 과정으로 체험했던 정지용, 윤동주, 백석, 이용악의 시에 얼굴 표상이 많이 등장한다. 또한 언어 실험을 통해 세계의 분열의 징후들을 보여줬던 이상과 세계의 이상에 자아의 목표를 일치시켰던 임화의 시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반면, 현실 동인과 자아에 대한 질문을 뒤로 물린 채 관념적 세계와 미적 언어에 탐닉했던 청록파 시인 등에게는 ‘얼굴’ 표상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정지용과 이용악 시에서 ‘얼굴’ 표상은 세계와 관계하는 화자의 내적상태를 직접적으로 대리한다. 그들 시에서 얼굴은 세계와 자아의 만남에서 비롯된 주체의 외상 자체를 표상한다는 점에서 은유적 표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얼굴 표상이 내적 상태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등장한다는 것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은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불우한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주체의 내력을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통시적’ 성격을 띤다. 이는 외적 폭력의 강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윤동주와 백석 시의 경우 ‘얼굴’ 표상이 병렬적 배치를 통해 세계를 연쇄적 과정으로 지시한다는 점에서 환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얼굴 표상이 주체의 외상을 주체 외부에 배치한다는 점에서 환유의 특징인 인접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즉 자신의 얼굴을 분리시켜 그 진의를 묻거나 얼굴 옆에 또 다른 얼굴을 배치함으로써 세계와 자아의 실체에 닿고자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은 화자의 사유나 인식을 일관되게 전개시켜 현실 또는 정념과의 유비적 연결망을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그 연결망을 저지하고 대상화시킴으로써 현실 또는 정념의 정체를 되묻는 역할을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그 공시적 성격을 통해 외적 폭력이 가진 비극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상 시의 ‘얼굴’ 표상은 은유와 환유의 과정이 중첩되어 등장하고, 임화 시에서는 그 과정이 무화되어 나타난다. 이상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단일하게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며, 임화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이미 결정된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은유와 환유는 시어 출현 방식에 따라 시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상의 시의 ‘얼굴’ 표상은 구조적 맥락을 지움으로써 세계의 비결정성을 표상하고, 임화 시의 ‘얼굴’은 그 자체로 세계의 표상을 구조화한다. 그로써 이상의 시는 세계의 분열을 드러내고, 임화의 시는 단일한 세계를 지향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e’ representation of poems writt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acial representations are the objects that show the representational “reality” in terms of forming the interface of inner ‘self’ and outer ‘world’, and metaphors and metonymy are the aspects in which the poetic objects appear and pl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study that reveals one aspect of the poetical perception of poets in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way facial expression is structured in the poem. Many face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poems of Ji Jung Yong, Yoon Dong Joo, Baek Seok, and Yong Aak who experienced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the self and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the immigrant process. It also appeared frequently in Im Hwa s poems, which matched the goal of the self with the ideal of the world, and Lee sang s poem which showed the splitting of the world by the technique of self-targeting. On the other hand, “face” representations rarely appeared in the poets from Pure Green Color school who indulged in the ideological world and aesthetic language but rejected the questions about reality motif and egos. In the poems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the ‘face representation directly represents the inner state of the speaker who is related to the world. Shortly, it is metaphorical in that it represents the trauma itself originated from the meeting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This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acial expressions appear based on their internal state and similarities. At this time, the “face” representation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is of a “diachronic” nature in that the subject s internal strength is positioned in a series of unhappy times. This plays a role to clearly reveal the intensity of external violence. In the poems by Yun Dong-ju and Baek-seok, ‘face’ has a metonymic nature in that it directs the world in the manner of chain process through parallel arrangement.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facial representation has a proximity in that the trauma of the subject is placed outside the subject. That is, it questions the true intention by separating own s face, or it intends to reach out to the whole world by placing another face next to the face. Face , which appeared in metonymy, plays a role of reclaiming the identity of reality or emotions by blocking the connection and objectifying it through objectification, rather than consistently developing the speaker s thoughts and perceptions to make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reality or emotion. This expands the tragedy of external violence through its public nature. In the poem by Lee Sang, the process of metaphors and metaphors is overlapped in face, and in the poem by Imhwa, the process becomes blurred and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s not captured in a single wa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has already been determined in the poem by Imhwa. But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homogeneity,” in which the original and auxiliary concepts are combined. Metaphors and metonymy are class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poetry depending on the way the words appeared. Thus, the “face” of the poem by Lee Sang represents the world s non-determinism by erasing the architectural context, and the “face” of the poem by Imhwa in itself constructs the world s representation.

목차

1. 서론
2. 은유적으로 표상된 ‘얼굴’과 통시성- 정지용과 이용악의 시
3. 환유적으로 표상된 ‘얼굴’과 공시성- 윤동주와 백석의 시
4. 세계와 자아의 비결정성과 결정성- 이상과 임화의 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용목(Sin, Yong-Mok). (2019).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82 , 225-259

MLA

신용목(Sin, Yong-Mok).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82.(2019): 225-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