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4 계몽운동과 민족・민주주의의 형성

이용수 211

영문명
The May Fourth Enlighten Movement and Formation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조병한(CHO, Byong-Ha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8권, 154~212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5·4운동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 접근법으로 대중 민족운동과 신문화운동이라는 두 국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었다. 1919년 5월 4일의 시위 사건 전후로 같은 시기에 전개된 5·4 민족운동과 신문화운동은 그 기원과 성격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된 역사적 배경에서 동일한 운동 주체, 대학 중심의 신지식인층과 청년학생이 주도함으로써 광의의 5·4운동으로 합류, 통합되었던 것이다. 신문화운동의 본질은 중국의 전통문명에 대항하는 근대적 계몽주의 운동이었으므로 중국을 개조하는 지표로 서구 근대 문명을 지향하기 마련이었다. 그 반면 비록 일본의 침략과 그와 결탁한 국내 군벌 정권에 대한 저항이지만 5·4 민족운동은 구미 열강의 제국주의 질서에 대한 민족주의적 대응이 그 궁극적 배경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두 운동의 성격에는 모순이 내포된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계몽과 민족이라는 이 모순된 두 측면이 국민혁명의 시작으로 분열되기까지는 일시 조화를 이루며 통합된 사실에 5·4운동의 역사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5·4 계몽주의의 내용은 경쟁적 진보를 주장하는 진화론의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개인의 인권과 과학 이념을 핵심으로 삼았다. 자유주의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개인 인권 중심의 인도주의는 과학적 이성주의와 함께 유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공격하는 우상타파적 계몽주의 사조의 추동력이 되었다. 이 같은 계몽 주의의 과제는 중국의 망국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공화국의 실패를 초래한 문화·사회적 여건을 개조하는 데 있었으며, 이것이 근대 국민국가의 토대를 준비하는 노력이란 측면에서 민족운동과 통합될 수 있는 측면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청조 말기에 기원을 갖는 중국의 근대 민족운동은 5·4운동의 대중 동원을 통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인데, 5·4시기 계몽과 민족 운동은 기존의 정치 세력과 거리를 두고 사회 공론과 사회 조직에 독립적 기초를 확보한 점에서 과거의 경세적 구국운동과는 차이가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 직후 시작된 5·4운동의 두 국면은 세계대전 종전을 전후로 해서 커다란 전환을 겪게 되었다. 과거의 군사적 경쟁의 시대를 벗어나 민족 자결과 국제 평화, 연대의 세계주의가 미래에 실현되리라는 유토피아적 사고가 파급된 결과 중국에서는 국내외 민주·평화를 목적으로 군벌 내전과 외세 침략에 반대하는 대중적 민족·민주 운동의 발전에 새 국면이 열렸던 것이다. 이제 종래 계몽주의의 중심이었던 자유 인권과 과학이 민주와 과학으로 중점이 옮아갔다. 원래 서구의 민주주의는 대의제 의회정치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였는데, 그 후 민주주의 관념의 범위가 경제 민주주의, 평민 민주주의 등으로 끝없이 확장되는 동시에 정치 운영의 방법에서부터 인류 행복의 관념적 이상주의로 추상화되었다. 이 같은 민주주의 관념의 수용으로 세계대전 후중국의 민주주의 관념에는 민주주의의 기원이나 다양한 유형과 다의성에 대한 인식이 결핍되어 혼란을 피할 수 없었다. 세계대전의 종전 무렵에는 사회주의, 심지어 마르크스·레닌주의도 광의의 민주주의 개념으로 수용되고, 정치 민주를 넘어선 더욱 이상적인 제도로 이념화되는 급진주의도 움트기 시작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kept accent on the two aspects of the nationalist mass movement and the new cultural movement in order to approach to the apprehension of May Fourth Movement. The two aspects of the movement, developed coincidently before and after the epochal demonstration accident on May Fourth, 1919, we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ir origins and natures, but they had the common historical background and were promoted by the same leadership of new intellectuals and youthful students around universities and colleges. Accordingly, the two aspects joined each other and united into the greater movement, namely, May Fourth Movement in a broad sense. The New Culture Movement was a modern enlightenment movement in essence, against the Chinese tradition of civilization, and was to be inclined to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s model to rebuild Chinese state. Though happened protesting the Japanese aggression and pro-Japanese warlord Beijing regime, the May Fourth Movement also was originated from Chinese confronting with the advanced Western powers ultimately. So in the long run, it seems the nationalist movement was in contradiction with the new cultural movement. However, it i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the movement that this contradiction between two aspects were harmonized each other in short period until their split at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Revolution. The substantial ideas of May Fourth enlightenment campaign were individual human rights and ideology of science, based on the evolutionary world view of competitive progress. Individual human rights as the basis of liberalism, and science as the fulfill of reason, these two ideas were the ideological forces driving the iconoclastic enlightenment thought against the Confucian ethics and other Chinese tradition. The great subject of enlightenment campaign was to rebuild the Chinese cultural and social conditions that had led to the fail of the Republic, in order to confront the national crisis. This momentum to pave the way for modern national state by the enlightenment, had common ground with the nationalist effort to resist foreign powers. Meanwhile, Chinese national movement, begun in the end of Qing dynasty, was formed in full scale through the May Fourth Movement. The enlightenment and nationalism in May Fourth Period, established their independent basis on social opinion and societies, separated from existing political scene. This is their historical originality differed from the past political campaign to save nation. The two aspects of May Fourth Movement begun directly after the World War Ⅰ, experienced a great transition stage before and after the end of World War. The great conversion of universal trend of thoughts from military rivalry between nations to utopian cosmopolitanism gave rise to the ideas of democra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of people. Under these influences, the two aspects of May Fourth Movement underwent a great change, claiming the end of civil war among warlords and foreign aggression. In consequence, The new prospects was opened for the mass nationalist and democratic movement, that affected the enlightenment movement, shifting emphasis from human rights and science to democracy and science. The democracy originated in Western Europe was liberal democracy operated by parliamentary politics through representative system, and thereafter the sphere of its concepts was so extended to include economic democracy and commoner’s democracy, etc., that it began from a concrete political methods at first and was transformed to the idealistic ideology for human welfare.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ideological democracy during World War Ⅰ, Chinese ideas of democracy were confused without their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its origin, diverse patterns and multiple meanings. Towards the end of World War, socialism, and even Marxism.Leninism were adopted in the concept of democracy, as an idealisti

목차

Ⅰ. 머리말
Ⅱ. 5·4운동과 신문화운동
Ⅲ. 중국 계몽주의의 대두와 그 의미
1. 계몽주의 사조의 대두
2. 5·4시기 계몽주의 이념의 사상적 성격
Ⅳ. 대중 민족주의의 등장과 민주주 의의 다의성
1. 민족주의의 전면적 등장과 그 의미 전환
2. 5·4운동의 전환과 민주주의의 다의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병한(CHO, Byong-Han). (2018).5・4 계몽운동과 민족・민주주의의 형성. 한국사학사학보, 38 , 154-212

MLA

조병한(CHO, Byong-Han). "5・4 계몽운동과 민족・민주주의의 형성." 한국사학사학보, 38.(2018): 154-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