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1운동 전후 독립에 대한 인식과 독립운동 -대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158

영문명
Independence Movement and Recognition about Independence before and after the 3・1 Movement - Focused on Daegu area -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일수(KIM, Il-Su)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8권, 67~10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1운동 전후 독립에 대한 인식과 독립운동을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 았다. 먼저, 3・1운동 이전 독립 인식에 대해 실력양성론 노선의 서상일, 독립 전쟁론 노선의 우재룡, 친일반민족적 입장의 박중양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체로 3・1운동에 대해 ‘미증유의 대중적 운동’ 또는 ‘전민족 총궐기의 대규모 운동’으로 이해하는 인식이 대세였다. 반면, 친일반민족적 입장에서는 3.1운동을 ‘폭거’로, 운동 참가자를 ‘흉도’로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3・1운동에 대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활동이 전개되었다. 서상일이 중심이 된 달성친목회 계열의 독립운동 자금 모금 지원과 파리장서 지원, 우재룡의 독립전쟁론에 입각한 주비단 활동 등이 전개되었다. 반면, 친일반민족 입장에서 자제단 결성을 통해 3.1운동의 확산을 방해하는 활동이 이루어졌 다. 이를 통해 1910년대 한국사회의 정치적 지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 다. 또한 1920년대 이후 민족운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충분한 준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 search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recognition about independence before and after 3・1 Movement focusing Daegu area. First, I examined SANGIL SEO of an ability training stance, JAERYONG WOO of an armed independence stance, JUNGYANG PARK of a pro-Japanese anti-national stance about the independence perception before the 3・1 movement. In general, the perception of the 3・1 movement was largely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was understood as the ‘unprecedented people movement’ or ‘mass movement of the whole n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pro-Japanese anti-national viewpoint, the 3・ 1 movement was defined as ”violence” and the participants of the exercise were defined as ”rioters”. Next, the activities were developed on the extension line of perception about the 3・1 movement. Dalseong social gathering that SANGIL SEO led supported the collection of independence campaign funds and Paris collection, and JAERYONG WOO developed the activities of Jubidan independence based on independence war view. On the other hand, activiti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3・1 movement have been made through the Refrain club in the pro-Japanese anti-national stance. This helped to understand the political topography of Korean society in the 1910s. In addition, I was able to establish a sufficient standard to understand the trend of the national movement since the 1920s.

목차

. 머리말
Ⅱ. 3・1운동 이전 독립에 대한 인식과 활동
1. 실력양성론의 서상일
2. 독립전쟁론의 우재룡
3. 친일반민족 입장의 박중양
Ⅲ. 3・1운동 시기 독립운동의 전개와 반민족 활동
1. 대구지역 3・1운동과 혜성단 활동
2. 서상일의 독립운동 자금 모집 운동과 파리장서운동 지원
3. 우재룡의 주비단(籌備團) 운동
4. 박중양의 자제단 활동
Ⅳ. 3・1운동에 대한 기억과 평가
1. 대구지역의 3・1운동에 대한 평가
2. 서상일의 3・1운동 기억
3. 우재룡의 독립운동에 대한 기억
4. 박중양의 3・1운동에 대한 기억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수(KIM, Il-Su). (2018).3·1운동 전후 독립에 대한 인식과 독립운동 -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보, 38 , 67-100

MLA

김일수(KIM, Il-Su). "3·1운동 전후 독립에 대한 인식과 독립운동 -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보, 38.(2018): 6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