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소설로 본 조선후기 ‘역사 만들기’의 일면

이용수 596

영문명
Inventing History: Two Historical Fictions in Late Chosŏn Korea, 1600s-1700s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계승범(KYE, Seung-Bum)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8권, 315~33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에 등장한 『강로전』(1630)과 『북정일록』(18세기 전반)이 시도한 역사 만들기 작업의 결과가 상이하였음에 주목하되, 시점(타이밍)과 시대분위기의 차이라는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강로전』은 사료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소설로도 크게 유행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자료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은 역사 만들기 작업에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정묘호란(1627) 발생 3년 만에 등장한 『강로전』은 그 등장 시점이 너무 일렀던 탓에 동시대 사람들의 ‘팩트 체크’를 피하기 어려웠다. 특히 강홍립의 항복행위를 극단적으로 비난한 『강로전』의 내용은 광해군보다 더 심하게 명나라를 배신하고 후금에 항복했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밖에 없었던 인조 시기(1623~1649)는 물론이고 17세기가 저물도록 국가 권력의 호응을 얻어내지도 못하였다. 강홍립의 항복행위를 심하게 비난하면 할수록 국왕 인조의 丁卯和盟(1627)과 삼전도항복(1637) 행위에도 치명적 부메랑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2차 흑룡강원정(나선정벌, 1658)을 다룬 『북정일록』은 18세기 전반 무렵에 나오자마자 민간에서 크게 유행하였으며, 특히 당시 유명한 학자들로부터 사료로 취급받았다. 역사 만들기 작업이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원정군 사령관 신류가 남긴 1차 사료 『북정록』이 집안에만 머문 채 외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소설 『북정일록』이 원정의 전말을 세간에 알린 사실상 유일한 자료였기 때문이다. 신류 본인은 물론이고 그 집안사람들이 『북정록』을 감춘 이유는 흑룡강원정 참전을 자부심이 아니라 수치심으로 여기던 시대분위기가 워낙 강고했기 때문이다. 북벌을 외치던 효종 대에 북벌을 실행에 옮기기는커녕 오히려 북벌의 대상인 청나라의 징병에 따라 출정하여 그 지휘를 받은 일은 형언하기 힘든 치욕스런 경험이었다. 1690년에 숙종이 흑룡강원정(나선정벌)에서 청나라의 존재를 지움으로써 그것을 조선이 단행한 북벌의 성공적 완수로 기억을 조작한 후에도, 『북정록』은 여전히 집안에만 머물렀다. 북벌의 대상인 청나라의 지휘를 받은 침울한 내용이 적나라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18세기 전반 어느 시점에 원정의 주인공을 실존인물 신류에서 가공인물 배시황으로 뒤바꾼 『북정일록』이 원정 관련 거의 유일한 자료로 세간에 널리 회자하였던 것이다. 이익이나 이규경 같은 조선후기 대학자들조차도 『북정일록』의 내용을 사료로 취급한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영문 초록

With emphasis on the two historical fictions written under Manchu dominance in the 1600s-1700s,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s in which two fictions were circulated in different ways. The Kangno chŏn (story of Kangno), written in 1630, was not successful in inventing history in that it was somewhat circulated as a fiction but never regarded as a historical source about the Korean expedition to Liaodong for the Ming against the Later Jin in 1619 and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6. In the Kangno chŏn, the author threw the entire blame on Kang Hongnip (1560-1627), who had commanded the Chosŏn expeditionary force but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for Chosŏn’s forced negotiations with the Manchu invaders for peace in 1627. Such fictional contents, however, could not appeal to King Injo (r. 1623-1649) and his close allies of the time, who in fact also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in 1627. The more widely the Kangno chŏn was circulated, the more severely the king himself would be criticized. This is the very reason for Kangno chŏn’s failure in inventing history. Informing the knowledge of the Manchu-Korean joint expedition to the Amur against Russia in the 1650s, the Pukchŏng illok (Daily accounts of the northern expedition) was written by anonymous probably in the early 1700s yet full of exaggerations, fabrications, and distortions. The Pukchŏng illok was nevertheless very successful in inventing history on the ground that it was circulated widely in the 1700s-1800s as a key historical source rather than a fiction. Interestingly, there was a primary source about the expedition: Written by Sin Nyu, the commander of the Chosŏn expeditionary force during the military campaign against the Cossack- Russian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Amur River in 1658, The Pukchŏngnok (Record of the northern expedition) was very factual and coincide well with other contemporary records such as Russian materials and the dynastic annals of Chosŏn Korea. But the Pukchŏngnok was not circulated and forgotten soon because the Korean view of the expedition was very negative until the the turn of the 1690s. To Korean ruling elites, the northern expedition was a panic and remained as a trauma because Chosŏn dispatched a force for the Qing to fight against Russians as a token of Korean obedience to the Manchu. What is worse, it occurred in the middle of Hyojong’s reign (1549-1559), who eagerly desired a revenge on the Manchu Qing for the fall of Ming China as well as the Korean surrender to them. This negative view of the expedition dramatically changed in 1690 when King Sukchong (r. 1674-1720) officially declared that the Koreans achieved success eventually in the northern expedition, by pointing out Russia as a Manchu Qing substitute. Pukchŏng illok’s success in inventing history was possible under this new situation and it was actually circulated among scholars of the time as a historical source.

목차

Ⅰ. 머리말
Ⅱ. 姜虜傳
Ⅲ. 北征日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계승범(KYE, Seung-Bum). (2018).역사소설로 본 조선후기 ‘역사 만들기’의 일면. 한국사학사학보, 38 , 315-339

MLA

계승범(KYE, Seung-Bum). "역사소설로 본 조선후기 ‘역사 만들기’의 일면." 한국사학사학보, 38.(2018): 315-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