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기행가사의 작품 실상을 살핌

이용수 33

영문명
Examining the Real Instances of Gyeongju Travel Poetr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기영(Kim Ki-yo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8輯, 121~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 기행가사에는 <경주유람가>(1960년대?), <유람기록가>(1964), 그리고 <경쥬괄남 긔>(1965)가 있다. 이들 가사는 가사가 왕성하게 창작되었던 조선 시대와 가사의 부흥을 꿈꾸는 현재 사이에서 결과적으로 가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 가사의 문체⦁표현을 통해 볼 때, 작품 내에 형식미 제고 및 작품 읽는 재미를 배가 하는 여러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율조를 분석한 결과 <유람기록가>의 산문화 경향이 가장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작품 서사의 단락 길이가 길다. 작자들로서는 어렵게 기회를 얻어 실천에 옮긴 여행이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달랐을 법한데, 그를 장황하게 표현한 것이다. 경주 기행가사의 작자는 6․70세에 이르러서야, 혹은 시집살이를 하다가 겨우 단체관 광을 떠난, 오직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삶을 살았던 우리의 어머니들이다. 그녀들의 닫힌 인생과 그에 따른 회한을 생각하게 한다. <경주유람가>의 여행 동기는 영주에 사는 신도들 모임의 의기투합에 있다. <유람기록가>의 작자는 ‘놀음 계’에서 1년 동안 준비한 끝에, <경쥬괄남긔>의 작자는 죽어서 지옥에 가지 않기 위해 석굴암을 구경하고자 여행을 떠났 음을 알 수 있다. <경주유람가>는 과거 사대부 기행가사처럼 작자가 대면한 여행지 공간이 동경의 공간 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유람기록가>는 실존(생활)의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주괄 남긔>는 실존(생활) 공간을 지향하지만 풍문의 공간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놀음’과 유흥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가사는 <유람기록가>이며, <경쥬괄남긔>에도 일부 나타난다. <경주유람가>는 조상에 대한 존모의식을 강하게 드러내는데, 유흥에 관련된 내용을 아주 조금 내비칠 뿐이다. 경주는 천년의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역사적 고장이다. 1960년대에도 예상 밖의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았음을 알 수 있다. 경주에서 생성되어 발전한 문화는 세계 어디에 내놓 아도 자랑할 만하다. 재능 있는 작가들의 스토리텔링을 자극하여 역사 속에서 여전히 살아있는 경주의 이모저모를 국내외에 알리는 전기를 마련한다면, 현재 우리 관광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영문 초록

Gyrongju gihaeng gasa (travel poetry) includes Gyeongju yuramga(in the 1960s), Yuramgirokga(1964), and Gyeongjugwalnamgi (by a Park whose clan origin is Muan; 1965). These poem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ffectively serve as bridges between the Joseon period in which gasa creation was vibrant and the present when we dream of the revival of gasa. Examining the style and expressions in the three poems shows that they employ several devices which upgrade their formal beauty and double the fun of their reading. My analysis of the rhythms showed that the prosaic orientation of Yuramgirokga was the most pronounced. Meanwhile, it is noted that the narrative paragraphs of the poems are long. As the writers were particularly emotional about their travels which they carried out with rare opportunities, the long-windedness reflects how they felt about the occasions. The writers of Gyeongju travel poems were ordinary mothers who could travel with difficulty only when they were in their 60s or 70s after having sacrificed all their life for their family. Their backgrounds let us dwell on their closed life and muse on their regrets resulting from it. The motivation for traveling found in Gyeongju yuramga was forged when believers living in Yeongju agreed to do it together. We see that the writer of Yuramgirokga started out at the end of one-year preparation through ‘a pastime savings plan’ and the writer of Gyeongjugwalnamgi had her travel in order to see Seokguram lest she land hell when she died. In Gyeongju yuramga, the spaces of the travel destinations which the writer witnessed are rendered as nostalgic venues as seen in the past gihaeng gasa written by male aristocrats, whereas they appeared as the spaces of actual existence (daily life) in Yuramgirokga. In Gyeongj ugwalnamgi, they aim to be the spaces of actual existence (daily life) but are also portrayed as rumored spaces. The poem that focused on ‘pastime’ and entertainment is Yuramgirokga, while they are partially visible in Gyeongjugwalnamgi. Gyeongju yuramga registers strong ancestral reverence and merely ricochets entertainment. From the poetry, we can see that people in the number beyond our imagination flocked to Bulguksa in the 1960s. Gyeongju is a historical town where the millennial culture is throbbing. The culture which formed and developed here is presentable anywhere in the world. By stimulating the storytelling by talented writers and thereby creating opportunities to bring local and international publicity to the various aspects of Gyeongju, we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ourism industry.

목차

1. 서론
2. <경주유람가>의 작품 실상
3. <유람기록가>의 작품 실상
4. <경쥬괄남긔>의 작품 실상
5. 결론―경주 기행가사의 현대적 가치 파악을 겸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영(Kim Ki-young). (2018).경주 기행가사의 작품 실상을 살핌. 어문연구, 98 (1), 121-142

MLA

김기영(Kim Ki-young). "경주 기행가사의 작품 실상을 살핌." 어문연구, 98.1(2018): 12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