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방안

이용수 1134

영문명
A Study on Tax Plan of Virtual Currency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김병일(Kim Byung Il)
간행물 정보
『경희법학』제53권 제2호, 231~27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핀테크,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으로 대변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디지털화의 물결이 통화의 세계에서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가상화폐 거래 등에 대한 과세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주요국의 경우 가상화폐의 자산적 성격과 결제수단으로서의 성격 모두를 인정하는 과세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 국가 중 대부분 가상화폐의 가치변동으로 인한 자본이득에 과세하고 있으며, 결제수단으로서의 성격을 고려하여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화폐 거래와 관련하여 사업소득세, 법인세 외에 양도소득세, 상속세 및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의 과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의 정립과 관련 세법규정의 정비 등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첫째, 가상화폐는 가상적이고 인터넷상으로만 존재하므로 현실의 물품이 아니고 유가증권이나 채권도 아니지만 현실의 세계에서 거래소에서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산 내지 자산에 해당하므로 소득세법상 관련 규정을 보완하여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가상화폐를 경제적 가치를 가진 유형ㆍ무형의 재산으로 간주할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가 가능하다. 이 경우 가상화폐의 자산가치를 원화로 환산하기 위한 평가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상화폐 성격을 재산적 가치가 있는 재화로 볼 경우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이 될 수 있으나, 거래 형태가 재화나 용역 구입을 위한 지급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과세되지 않도록 세법령을 개정하거나 명확한 해석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가상화폐 거래에 대한 과세인프라를 구축하고, 조세회피를 막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가상화폐 관련 산업에 축적되는 거래정보들을 활용하여 과세대상 거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가상화폐 교환업의 등록제 등 중개인들을 적절히 규제하는 것을 통해 가상화폐의 익명성을 이용한 조세회피를 다소나마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는 전자적 기록이라는 가상화폐의 성격을 고려할 때, OECD,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외국의 금융정보분석기구와 가상화폐를 통한 자금세탁관련 정보 등을 공유하고 사법공조나 자금세탁 사건의 조사에 있어서 상호협력을 통한 국가간 공조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해외 수사기관이나 과세당국과의 국제적 통합대응기구를 설치하여 가상화폐를 이용한 탈세행위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Wave represented by recent interest in Fintech and Blockchain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expanded the digital wave throughout the world and has led to greater interest in virtual currencies such as Bitcoin. This paper focuses on the examining methods of taxing virtual currencies. Examination of the tax standards of key countries indicates that most countries have established methods of taxation that both recognize virtual currencies as monetary assets and as methods of payment. In almost all countries, tax is imposed on capital gains acquired as a result of value shifts in virtual currencies and most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and Germany exclude value-added tax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in which virtual currencies are regarded as methods of payment. In the case of South Korea, in order to impose capital gains taxes, inheritance taxes, and gift taxes on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while excluding business income taxes and corporate taxes,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legislation by amending related tax code provisions and defining the legal nature of virtual currencies. First, since virtual currencies are virtual and exist only on the Internet, they are not articles of the real world. Although they are also neither securities nor bonds, virtual currencies are property and asset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market prices across exchanges in the real world and because of this, there is a need to actively consider including virtual currencies as being subject to capital gains taxes. However, to tax capital gains from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the related provisions of income tax laws must be supplemented. Second, if virtual currencies are considered as tangible/intangible assets having economic value, it is possible to subject them to inheritance and gift taxes. In this case, there would be a need to supplement appraisal provisions for the conversion of the asset value of a virtual currency to Won. Third, if virtual currencies are considered as goods having property value, it may be subject to value-added taxes. However, if virtual currencies are transacted in a manner of being a method of payment for the purchase of goods or services, related tax provisions should be amended to reflect necessary tax exemptions status or clear interpretatio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Separate from these issues, a means of exempting value added taxes in consideration of global tax standards regarding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should actively be reviewed. As a means of preventing tax evasion through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transactions of taxable subjects by utilizing transaction data accumulated in the industries related to virtual currencies. Through the appropriate regulation of intermediar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registration system for virtual currency exchange businesses, tax evasion abusing the anonymity of virtual currencie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virtual currencies that they are electronic records that are not affiliated with a specific country, practical effects will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과 과세상 주요 쟁점
Ⅲ. 주요국의 가상화폐 관련 정책 및 과세제도
Ⅳ.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방안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일(Kim Byung Il). (2018).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방안. 경희법학, 53 (2), 231-274

MLA

김병일(Kim Byung Il).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방안." 경희법학, 53.2(2018): 231-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