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투리는 어떻게 문학어가 되는가? -언어의 아카이빙과 한국어 문학어의 재편: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이용수 503

영문명
How does a dialect become a literary language? - Archiving of Language and Reorganization of Korean Literary Language: The Problem of ‘Dialect’ in Lee Moon-gu’s Novel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유승환(Yoo, Sung-hwa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8집, 377~42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이문구의 『관촌수필』과 『우리동네』에서 방언을 문학어로 실현되는 양상 및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이문구의 사투리 활용을 작가의 모어의 자연스런 발현이 아니라 사투리를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 실현하는 인공적인 문학어의 창출로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197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언어적 실천의한 전형으로 파악하려 한다. 『관촌수필』에서 방언은 지문과 대화의 분리에 기초한 언어적 이원성 속에서, 최소한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표기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수준에서 문학어로서 실현된다. 간접화법을 통한 언어적 혼성과 주석 및 부연의 활용 등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이와 달리 『우리동네』는 방언이 서술자의 언어에 무차별적으로 틈입하면서 지문과 대화의 언어적 거리가 상당히 좁혀진다. 이로부터 『관촌수필』의 언어는 서술자의 세심한 통제 아래에서 방언을 포섭하는 새로운 한국어 문학어를 구성하려는 구성적 성격을 가진 언어이며, 『우리동네』의 언어는 이질적인 언어의 혼성으로 생기는 언어적 혼란을 그대로 노출하면서 이를 통해 근대 문어 및 근대 문어가 산출한 허위적인 개념을 비판적으로 해체하는 해체적 성격을 가진 언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관촌수필』과 『우리동네』에서 방언이 실현되는 이러한 방식 및 그 차이는 1970년대 한국문학의 집단적인 언어적 실천으로서의 ‘언어의 아카이빙’의 의도와 한계에 그대로 대응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and ways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literary language in Lee Moon-Gu’s Gwanchon Essay and Our Town. Using this analys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use of dialect of Lee Moon - gu not as natural revelation of his mother tongue, but as creation of artificial literary language that realizes dialect at different levels. In addition, this paper understands this as a typical model of th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In Gwanchon Essay, dialects are realized literally at different levels through at least five different transcription methods under the linguistic duality based on the separation of the description and the dialogue. Linguistic hybridity caused by indirect speech and use of annotation and amplification are notable.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ic distance between description and dialogue is narrowed as dialects infiltrate the narrator’s language indiscriminately.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language of Gwanchon Essay is a constructive language that constitutes a new Korean literary language that embraces dialects under the meticulous control of the narrator, and that the language of Our Town is deconstructive language that deconstruct fictionality of modern written language exposing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linguistic hybridity. The way in which dialect is realized in these two works correspond to the intention and limitations of ‘archiving of language’ as a collective linguistic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목차

1. 인공적 문학어로서의 방언
2. 사투리가 문학어가 되는 다섯 가지 방법:『관촌수필』의 경우
3. 언어의 거리와 그 의미:『관촌수필』과 『우리동네』의 거리
4. 결론을 대신하여: 1970년대 한국문학의 언어적 실천과 이문구 문학의 자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승환(Yoo, Sung-hwan). (2018).사투리는 어떻게 문학어가 되는가? -언어의 아카이빙과 한국어 문학어의 재편: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구보학보, 18 , 377-422

MLA

유승환(Yoo, Sung-hwan). "사투리는 어떻게 문학어가 되는가? -언어의 아카이빙과 한국어 문학어의 재편: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구보학보, 18.(2018): 377-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