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이용수 864

영문명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재천(Ko Jae Ch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115~1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지 각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담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교사-학생과 지도- 지원의 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학부모의 관심 저조, 교사의 열의 부족 및 지도여건 미비,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이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4개 군집별 중요도 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열의 부족과 지도여건의 미비 요인과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 요인보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저조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학습부진학생 자신인 학 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보다는 학습자 요인과 학부모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학습부진학생 지도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 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15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 tw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45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the dimensions and factors of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is difficulties as ‘teacher-student dimension and ’instruction-support dimen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recognized in four clusters: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poor attention of parents, lack of teacher’s pass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lack of support systems in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of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and ‘poor attention of parent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four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lated with factor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more highly importan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arents factors than other factors of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재천(Ko Jae Cheon). (2015).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 115-137

MLA

고재천(Ko Jae Cheon).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015): 115-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