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채색필사본의 호화 복식에 나타난 중세 후기 조형미술의 시간성

이용수 207

영문명
Temporality in Late Medieval Art: A Study on Sartorial Dimensions in Illuminated Manuscript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변경희(Pyun, Kyung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4권,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간성(Temporality) 혹은 동시대성(Contemporaneity)이라는 조형 미술의 개념을 14-15세기 프랑스 채색 필사본에 나타난 복식 표현에 적용시켜 패션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프랑스 왕실과 궁정귀족들이 착용한 동시대의 유행 의상 (sartorial dimension)이 성서 삽화 및 궁정문학의 삽화 등에서 시각화된 사례를 중심으로 후원자의 관심이 시각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동시대 의복 및 장신구의 실제 사례와 얼마나 근접한 지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14세기 중엽에 활동한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 1300-1377)의 시와 노래에 삽화를 그린 무명의 화가와 그의 동료들은 특히 동시대 의복의 특징을 문학 뿐 아니라 교회에서 사용하는 의례용 서적이나 성서 관련 서적의 삽화에 시각화하여 동시대성 혹은 그들이 살고있는 시간성을 여과없이 반영하였다. 시각적으로 재현된 유행 복식은 <장미설화(Roman de la Rose)>같은 문학 작품이나 왕족의 재산목록 (Inventory)에 실린 묘사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장식품 등과 비교해 보아 실제로 왕족이 입었던 옷과 다르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동시대성”이 드러난 복식의 시각화는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강화된 사치품 교역, 특히 아시아 및 중동 지역에서 수입된 화려한 직물의 소비와 연결된 물질문화의 향유와 관련이 크다고 보았다. 중세 프랑스의 직물, 특히 실크의 제조 및 수입에 관련된 최신 연구서를 바탕으로 프랑스 발르와(Valois) 왕조의 궁정 귀족 및왕족들이 세련된 디자인의 복식과 호사스러운 장신구 등을 착용하여 유럽 다른 지역의 궁정 및 상인 계층의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의 모방 대상이 되었다. 발르와 왕족을 위해 제작된 사치스러운 채색 필사본 삽화는 발르와 왕조 구성원들이 지닌 “동시대성” 혹은 “시간성”을잘 드러내고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concepts of temporality and contemporaneity applied to visual art, this paper analyzes fashion trends applicable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by examining visualized clothes worn by courtiers and royal families in liturgical as well as literary manuscripts. Questions to be considered are: how the patronage and readership of these manuscripts may have affecte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lothing and its wearers; how accurate the illustrated dresses in these manuscripts could have been; how innovations in dress style and textile patterns might have been mentioned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many sermons and moralized texts warned the readers against such indulgences); how much influence these illustrated clothes might have had on viewers and readers alike; and what inspired the talented painters of the fourteenth century to take a close look at contemporary fashion. The Master of the Remède de Fortune (active 1340s), who illustrated the newly-composed musical poems by Guilluame de Machaut (1300-1377), is known for the rendering of stylish dress reflecting a contemporary trend on the eve of the Black Death. Combining visual depictions of dresses in illuminated manuscripts of the Roman de la Rose and songs of Guillaume de Machaut with written descriptions of dresses in royal inventorie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se sources as materials for dress history. Surviving artifacts, such as accessories and decorative arts in major museums and excavated artifacts, in a few nunneries in England would be compared to written or visual descriptions of dresses. Unlike liturgical manuscripts and religious panel paintings, illuminated manuscripts for secular literature include a novel iconography and a keen sense of fashion during the early mercantile trade of luxury goods following the Crusaders and preceding the global encounters of early modern Europe from 1450 to 1600. Art historians and literary scholars have noted an introduction of new textile materials and metalwork accessories during the Valois dynasty. For example, Sharon Farmer s book on medieval silk industries, The Silk Industries of Medieval Paris: Artisanal Migr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endered Experience includes a growing body of descriptions on textile-related luxury goods, as do other related studies on garments of early modern Europe. In late medieval culture with more visible luxury goods available from outside Europe, artists and courtiers alike were aware of and subject to the contemporaneity of their own visual surroundings. A visual adaptation of material wealth à la mode was manifested in a group of luxury manuscripts commissioned by the royal members of the Valois dynasty in late medieval Fr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emporality and Contemporaneity in Visual Art
Ⅲ. Contemporary Fashion by Manuscript Illuminators
Ⅳ. Luxury Trade and Fashion in the Late Medieval Europe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경희(Pyun, Kyunghee). (2017).채색필사본의 호화 복식에 나타난 중세 후기 조형미술의 시간성. 조형디자인연구, 20 (4), 1-26

MLA

변경희(Pyun, Kyunghee). "채색필사본의 호화 복식에 나타난 중세 후기 조형미술의 시간성." 조형디자인연구, 20.4(2017):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