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의 창작공간과 장소 특정적 미술 - 장소특정적 미술에서 공동체 특징을 중심으로-

이용수 429

영문명
Jeju Creative Space and Site Specific Art - A Study on the Community s Character of Place -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장희(Lee, Jang-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4권,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도에 예술인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제주예술계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2011년을 기점으로 지난 6년 동안 이주 예술가들가 조성한 예술공간이 급격하게 늘어났 다. 자생적으로 조성된 공간과 함께 최근에 정부의 지원사업이 더해지면서 지난 6년간 50여 개가 넘는 예술공간이 새롭게 신설되었다. 제주도의 ‘문화예술의 섬 조성’ 정책은 제주의 창작 및 예술 공간이 늘어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제주문화예술재단과 제주시에서 지원받은 창작공간을 중심으로 조사해왔다. 연구방법은 직접방문 인터뷰를 기본으로 했고, 문헌이나 기사 등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본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서 제주 창작공간 가운데 ‘장소 특정적 미술’에서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공동체적 특성을 갖고 있는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통해서 제주라는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창작공간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ly growing numbers of immigrators, Jeju island is undergoing the dramatic changes on its art ecology. Art community of Jeju island is also anticipating the further transformation of the island’s art society as the growing numbers of the artists moving in. Especially, the continuous growth of newly formed (government subsidized or privately funded) art spaces built by those moved- in-artists since 2011 backs up the anticipation. For the past 6years, more than 50 art spaces have been newly built and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the further growth in those number. Also, Jeju island’s provincial government is taking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ose artistic immigrators’ with the ambitious vision of fostering the island as the ‘Island of art and culture’. And art spaces are expected to play the important role on satisfying the government’s ambition. The study has been investigating the Jeju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the creative spaces supported by the city since 2013.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face-to-face interview, and data such as literature and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is to find examples of communal characteristics in the site-specific art in the Jeju s creative spaces. Through this study, we will find the direction of creative spaces considering the identity of Cheju Island.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장소특정적 미술
3. 장소특정적 미술 장소에서 공동체로
Ⅱ. 제주 창작공간의 탄생과 현황
1. 이주예술인 증가와 창작공간의 증가
2. 제주지역 창작공간의 현황과 특성
Ⅲ. 공동체 특정적 미술로 본 제주 창작공간
1. 제주지역의 공동체성과 그 특징
2. 공동체 특정적 미술과 제주 창작공간 사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장희(Lee, Jang-Hee). (2017).제주의 창작공간과 장소 특정적 미술 - 장소특정적 미술에서 공동체 특징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0 (4), 1-20

MLA

이장희(Lee, Jang-Hee). "제주의 창작공간과 장소 특정적 미술 - 장소특정적 미술에서 공동체 특징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0.4(2017):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