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공예의 현대화와 유통 활성화를 위한 협업 사례 연구

이용수 718

영문명
A Study on Collaboration Approaches for Modernization and Activation of Distribution for Traditional Craft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장순규(Jang, Soonkyu) 박윤하(Park, Yoonha) 이연준(Lee, Younjoo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4권,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예는 한 지역과 국가의 역사를 대변하는 전통 문화의 생산물임이 분명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공예는 서구 문화 유입, 정체성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비실용적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공예품이 문화 콘텐츠로 자리를 잡기 위해 전통장인과 디자이너의 협업과 같은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현재 공예 분야는 주로 역사와 이론 및 작품 기술에 관한 연구가 다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 제작 방식을 활용한 디자인 협업 방안 제안을 위해 전통 장인과 협업을 진행하였던 4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협업의 가치, 내용적 요소 등에 관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협업의 가치 측면에서 디자이너들은 공예품이 갖는 어려움이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전통적 생산 방식과 현대 사회 기술 조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형태적 요소 측면에서는 디자이너들이 제작한 공예품에 장인들의 수공예적 기법이 가미될 시 예상치 못한 결과물의 공예품 양산이 가능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요소 측면에서는 장인들의 기술 보존 및 활용 시디자인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콘텐츠 변화 가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을 강조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협업 진행 시 전통 공예품이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한 차별화된 접근의 역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세 가지 측면(협업의 가치, 형태적 요소, 내용적 요소)이 디자이너와 전통 장인이 현대 사회에서 가야할 한국 공예의 선행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어 전통 공예와 현대 공예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Crafts are produc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embodies the history of a region and country, yet the status of them in the modern society is regarded impractical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and the lack of recognition in their identitie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strategies such as collaboration between traditional craftsmen and designers in order to position crafts as cultural contents,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the field of crafts mainly in history and theory and works techniqu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4 designers who collaborated with traditional craftsmen on the value of collaboration, elements of shape, etc.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esigner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and modern social techn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shortcomings of the crafts in terms of the value of collaboration. In terms of form factors, the craftsmen An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mass-produce artifacts with unexpected results. Finally, it emphasized that the content el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expanding the design of artisans technology, but also in positively affecting possibility of content chang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craftwork could be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three aspects (the value of collaboration, elements of shape, and elements of content) will hopefully help designers and traditional craftsmen advance the preliminary participation of Korean crafts in modern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전통 공예와 현대 공예
2. 현대 한국 사회에서 공예
2. 전통 공예 협업의 중요성
3. 국내의 전통 공예 협업 프로젝트 사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순규(Jang, Soonkyu),박윤하(Park, Yoonha),이연준(Lee, Younjoon). (2017).전통 공예의 현대화와 유통 활성화를 위한 협업 사례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 (4), 1-16

MLA

장순규(Jang, Soonkyu),박윤하(Park, Yoonha),이연준(Lee, Younjoon). "전통 공예의 현대화와 유통 활성화를 위한 협업 사례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4(2017):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