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정신보건법의 변화와 그 의미

이용수 1880

영문명
The Changes and Implications in Korean Mental Health Act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신권철(Shin, Kwon-Chul)
간행물 정보
『경희법학』제52권 제3호, 171~21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은 2016년 5월 전면개정되었다. 이름마저 개칭한 정신건강복지법 (정식 명칭은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다)은 강제입원 제도의 개선을 핵심으로 한다. 사인(私人)인 가족과 의사에 의한 강제입원과 장기입원을 사실상 제도화한 구 정신보건법의 보호입원은 지난 20년 간 오명(汚名)을 남기고서 2016년 9월 헌법재판소의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을 받고, 정신건강복지법에 의해 대체되었다. 정신건강복지법은 성년이 된 정신보건법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정신건강복지법은 구 정신보건법보다 성숙해진 강제입원제도를 만들어냈지만 아직 성취하지 못한 것이 많다. 특히, 강제입원심사기관을 여전히 사실상 독립성과 중립성이 부족한 의료적 합의체의 형식적 서면심사에 맡기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심사기구 구성과 심사방식은 국제기준이나 서구 주요국가의 기준에 비추어 여전히 낙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정신건강복지법이 규율하는 강제입원제도의 역사를 시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살펴보고, 그 사회적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 구 정신보건법의 연원이 된 프랑스 1838년 정신이상자에 관한 법률과 그 이전의 영국 부랑법과 광기법이 가진 법적 진화의 20 세기적 변용이 정신보건법임을 본 논문은 논증해보고자 한다. 한국 정신보건법이 여전히 19세기적 치안입법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지만 정신건강복지법 으로의 전환을 통해 보건의료 및 복지입법으로 재탄생하고자 하였음을 본 글에서 밝히고자 한다. 특히, 입법과정에서 정신장애당사자단체 및 장애인권단체의 활동이 주도적 역할을 하 였음을 보이며, 그러한 역할이 정신건강복지법이 정신장애인의 인격적 주체성을 확보하고, 그 수단이라 할 수 있는 말하여질 권리(경청받을 권리)의 형태로 구체화되었음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Mental Health Act 1995 is revised completely in 2016. The name of the Act is changed to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The core of the Act is involuntary admission. The article 24 in the Mental Health Act 1995 which stipulated involuntary admission by the nearest relatives and the mental health hospital directors was unconstitutional(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in September 2016. The article 24 in the Mental Health Act 1995 is revised to be the article 43 in the Act, which provides that involuntary admission by the nearest relatives and the mental health hospital directors is strictly restricted.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needs to improve the review bodies of involuntary admission. The review bodies in the Act is insufficient for independence and neutrality. The review bodies are in fact not judicial bodies but medical bodies and the review method is by document, not in face to face. The constitution and review method of the bodies is in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rules of UN MI Principles and CRPD and it is outdated. This article surveys the history of involuntary admission through extension of space and time. The Mental Health Act 1995 in Korea originated in the France act concerning the insane 1838. In the 20th century, involuntary admission of mental health law succeeded the vagrancy law and lunacy law in Europe. The purpose of Involuntary admission was for public safety based on police power in the first half if 20th century and since that time its purpose focuses on treatment and welfare of the Mentally ill based on parens patriae power. Legal nature of the Mental Health Act 1995 in Korea was police law and involuntary admission is security measures of the potential mentally disordered offender. but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is for the welfare and human dignity of the mentally ill. This change in the goal of the Act is due to the participation of the mentally ill organizations and advocacy groups in the legislation process. The Act provides that the mentally ill have the self-determination right explicitly and have right to be heard implicitly on the demand of the participants in legislation.

목차

Ⅰ. 서론 - 정신보건법의 의미
Ⅱ. 강제입원제도의 역사
Ⅲ. 정신건강복지법의 탄생
Ⅳ. 정신건강복지법의 내용
Ⅴ. 결론 - 정신건강복지법의 미래제안으로서 사법입원의 도입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권철(Shin, Kwon-Chul). (2017).한국 정신보건법의 변화와 그 의미. 경희법학, 52 (3), 171-210

MLA

신권철(Shin, Kwon-Chul). "한국 정신보건법의 변화와 그 의미." 경희법학, 52.3(2017): 171-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