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1

영문명
Study on Human Rights of Refugee Women Staying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송효진(Hyo Jean Song) 김소영(Soyoung Kim) 이인선(Inseon Lee) 한지영(Jee Yong Han)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수시과제), 1~122쪽, 전체 1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17,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 최근 국제적으로 난민 문제가 가장 큰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국내 난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난민은 성인 남성이 주가 되어, 난민여성의 실태와 취약성은 드러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의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난민여성에 대한 정책도 부재한 실정이다. □ 난민여성이 여성이기 때문에 노출될 수 있는 박해(정치적 박해로 인한 성폭력, 여성할례, 성매매)에 대한 이해가 국내에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실태파악조차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난민여성은 난민신청과정에서부터 정착에 이르기까지 임신, 영유아 자녀 동반 등 특수한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난민법? 시행 이후 적절한 절차적 보호와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파악도 필요하다. □ 그러나 난민법 시행 전후로 수행된 선행연구 및 난민에 대한 실태조사에 있어 난민여성의 실태 및 현황이 드러나지 아니하여, 정책 제언 및 법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와 자료의 생산이 시급한 상황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및 난민지원 NGO 전문가들의 협조를 받아 한국 체류 난민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내 난민여성들의 인권 상황 및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에 체류 중인 난민여성(난민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인정자) 21명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및 그 결과를 분석하여 난민여성의 인권 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현행 난민법제를 성인지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난민여성의 인권을 젠더박해와 난민인정, 입국과정과 난민신청절차에서의 여성 인권 보호, 생활정착과정에서의 여성 인권이라는 세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들 영역을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 연구의 범위에 포함하였다. Ⅱ.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실태 1. 심층면접 조사 개요 □ 한국에 체류 중인 난민여성의 인권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난민여성의 경험을 들어보고자 한국 체류 난민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은 민간 난민 지원 단체와 관련 전문가를 통해 의뢰하였으며, 면접대상자는 난민지위(난민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인정자), 출신국(아프리카권, 아랍권, 아시아권 등), 결혼여부, 자녀유무 등을 고려하여 섭외하였다. 최종면접에 참여한 난민 여성은 총 21명으로, 면접은 1회에서 필요에 따라 2회 진행되었으며, 일대일 면접 또는 소집단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면접은 2015년 12월 중순부터 2016년 2월 초까지 진행되었으며, 난민으로 본국을 떠나오게 된 사유, 난민입국과정 및 신청절차에서의 경험, 한국 입국 후 난민으로서 살아가는 경험 등의 사항으로 내용을 구성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refugee act in 2013, the number of women refugees has fundamentally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refugees in korea showed a growth in its amount. Among the population of refugees, only males make their voices, not females. By doing so, refugee women could not reveal how vulnerable they are in Korea. It makes them unable to receive timely protec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e policy for refugee women is absent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which makes the case worse. In spite of this current unfavorable conditions, there are few academic researches and the policy for refugee women. Those insufficient understandings for refugee women are a possible crucial point for future research, suggesting requirement on urgent need of basic data for further policy-making and system improvemen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refugee women staying in Korea to grasp the status of their human rights and reflect their voices and desire, finally analyzing refugee-related law in terms of gender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nd legal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better treatment for refugee women in Korea. In such context, it is indispensable to add some regulations for refugee women when they are on a process for their legal status to be determined under the current refugee law. In details, including ‘gender guidelines’ into the Refugee Law is needed, considering varied situations refugee women have. It is because there is the first priority for some groups such as pregnant women or people accompanying children who must be provided with proper space and nutrition. To simply pu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toward those underprivileged women. Therefore, this study argues allocating the same sex officials in charge of screening refugee women at an migration office, guaranteeing gender-sensitive education toward officials at an migration office. When it comes to victims of violence such as sexual or domestic violence, providing further physical or psychological treatments are needed as well. Ultimately, this paper strongly argues importing further gender consideration into refugee Law, especially toward refugee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
Ⅲ. 난민여성 관련 법제의 문제점
Ⅳ. 결론: 법?제도 개선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효진(Hyo Jean Song),김소영(Soyoung Kim),이인선(Inseon Lee),한지영(Jee Yong Han). (2016).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52), 1-122

MLA

송효진(Hyo Jean Song),김소영(Soyoung Kim),이인선(Inseon Lee),한지영(Jee Yong Han).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52(2016): 1-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