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자가족의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연구

이용수 739

영문명
Study on the Support for the Empowerment of Single-father household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영란(Young-Ran Kim) 황정임(Jung-Im Hwang) 최진희(Jin-Hee Choi) 김은경(Eun-Ky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수시과제), 1~96쪽, 전체 9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14,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기존의 한부모가족 관련 연구는 높은 모자가족의 비중을 반영하여 주로 모자가족이 경험하는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양립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등에 대한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음 ○ 그러나 최근 들어 부자가족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자녀 양육 등에 있어서는 부자가족이 모자가족에 비해 취약하다는 문제가 지적되면서 부자가족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부+미혼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비율은 2000년 1.5%(219,997가구)에서 2005년 1.8%(286,923가구), 2010년 2.0%(347,448가구), 2015년 2.8%(537,608가구)로 증가 추세(통계청, 2000, 2005, 2010, 2015, 인구주택총조사) □ 특히 한부모가족이 된 이후 부딪친 가장 큰 문제로 모자가족은 경제적 어려움을, 부자가족은 자녀양육과 교육을 1순위로 꼽고 있어 차이를 보임(문은영?김보람, 2010:2) ○ 월평균임금수준과 소득이 가장 낮은 것은 모자단독가구이며, 자녀양육 및 교육에서 모자단독가구는 양육비용 부담이 큰 반면, 부자단독가구는 돌봄공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황정임 외, 2015:56) □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부자가족을 위한 별도의 생활시설 설치 등 부자가족 관련 지원정책에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은 한부모가족 지원정책의 대상으로 동등한 지원을 받고 있을 뿐 부자가족을 고려한 정책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 □ 한부모가족으로서 공통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 이외에 부자가족에게서 보다 심각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별도의 개입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양육자로서 부모역할, 자녀와의 관계 등에 있어서 모자가족과 비교하여 부자가족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됨 ○ 그러나 부자가족을 사업대상으로 포괄하고 있는 여성가족부의 취약?위기가족지원사업 서비스 이용자 중 부자가족은 9.1%(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5:18)로 관련 프로그램이나 자조모임 등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부자가족은 소수에 불과함. 또한 가족기능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돌봄, 교육, 상담, 문화 사업을 수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의 부자가족 참여 실적 또한 미미한 것이 현실임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자가족의 가족지원수요를 파악하고 지원서비스를 제안하는데 있음 ○ 특히 부자가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가족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고자 함 ○ 구체적으로 가족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사업과 취약?위기가족지원사업의 틀 안에서 부자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함 2. 연구내용과 방법 □ 연구내용 ○ 첫째, 부자가족 현황을 정리함. 선행연구, 특히 2015년 한부모가족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부자가구와 모자가구를 비교하여 제시함 ○ 둘째, 부자가족의 생활실태 및 지원수요 파악. 2015년 가족실태조사 원자료 재분석을 통하여 양부모가족과 부자가족, 모자가족의 경제적 상황 및 가족 건강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부모자녀관계를 비교분석함. 부자가족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부자가족으로서 어려움, 자녀양육관련 어려움, 지원서비스 욕구 등을 파악하여 정리함 ○ 셋째, 부자가족 지원정책을 정리함. 현행 지원정책에서 부자가족만을 별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은 없기 때문에 정부부처가 추진하는 정책 중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음 ○ 마지막으로 부자가족 지원서비스를 제안함. 부자가족 대상 지원서비스로 부모-자녀관계 상담지원 활성화, 자녀 학습 멘토 연계 서비스, 양육자 역할 지원 활성화 및 지원체계 구축, 부자가족 자조모임 활성, 취약위기가족지원사업 전국 확대실시, 온라인 등을 통한 정보제공 활성화, 자조모임 및 상담 등 담당인력의 지속성 및 전문성 확보 등임 □ 연구방법 ○ 문헌연구 : 관련 지원정책 현황, 부자가족 생활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자료, 인터넷자료, 선행연구 결과 등을 수집 정리 ○ 2차 자료 분석 : 2015년 가족실태조사 재분석 ○ 면접조사 : 부자가족 6사례 인터뷰 실시 ○ 기관실무자 면담 실시 ○ 전문가 자문 실시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welfare demands of single-father households, and to suggest several measures to expand services and programs for them, particularly, by focusing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amily services and the Program for Vulnerable and Critical Families. In order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and welfare demands of single-father households,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including the National Surveys on Korean Families and Single-Parent Households in 2015, and interviewed some single-fathers and social workers involv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inancial situation of single-father households turned out to be better than that of single-mother households but worse than that of dual-parent households. In terms of rearing children, single-fathers had issues with their performance in housework but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y also showed a low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al support programs. In particular, they rarely attended self-help gatherings provided by the Support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for supporting single-father households at the level of service and program, on the on hand, and a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body, on the other. In terms of services and programs, five measur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the counselling service aimed at single-father households needs to be introduced as one of counselling service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fathers and their children. Secondly, the linking service between the school-age children of single-father households and learning mentors needs to be introduced to provide the differentiated supports tailored to their individual learning capacities. Thirdly, the training for single-fathers on housework and parenting skills needs to be provided to equip themselves as qualified rearers. In addition, the childcare service taken single-fathers’ own specific situations into account and a daily-based rearing support system, for instance, by hotline or by online, need to be provided. Fourthly, human resources such as dedicated social workers and leading single-father members and the physical space for continuous gatherings need to be secured to facilitate self-help gatherings among single-father households. Fifthly, the accessibility to relevant information needs to be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al support programs. In terms of implementation bod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needs to include single-father households as one of target groups of its family services. It also needs to strengthen its case management service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by expanding the Program for Vulnerable and Critical Families nationwid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부자가족 생활실태
Ⅳ. 지원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란(Young-Ran Kim),황정임(Jung-Im Hwang),최진희(Jin-Hee Choi),김은경(Eun-Kyung Kim). (2016).부자가족의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52), 1-96

MLA

김영란(Young-Ran Kim),황정임(Jung-Im Hwang),최진희(Jin-Hee Choi),김은경(Eun-Kyung Kim). "부자가족의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52(2016): 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