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

이용수 124

영문명
Methods to Link Local Governments’ Gender Budgeting to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박수범(Soo-Bum Park) 김희경(Hee-Kyong Kim) 권도연(Do-Yeon Kwon)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수시과제), 1~116쪽, 전체 1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16,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연구개요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필요성 ·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는 도입목적에 있어서는 다르지만 재정의 책임성과 투명성, 형평성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음 · 그러나 두 제도는 현재 연계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두 제도를 연계할 경우 성인지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을 통해 새로운 예산을 편성할 통로를 확보하게 되고,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성평등성과 성과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임 - 목적 · 본 연구는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두 제도의 연계를 통해 각 제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제도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연구내용 ·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개요와 현황 파악 ·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 연계의 필요성 ·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 마련 - 연구방법 ·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의견수렴 Ⅱ.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개요 및 현황 □ 성인지예산제도의 개요 및 현황 - 지방자치단체의 성인지예산제도는 정부의 정책과 사업이 의도하지 않게 남성과 여성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2011년 지방재정법 의 개정과 함께 2013년도부터 도입(박수범 외, 2015a: 요약ⅱ) - 성인지예산서를 통해 예산이 남성과 여성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리 파악하고, 이를 예산편성에 반영하여 성불평등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하는 제도임(박수범 외, 2015a: 요약ⅱ) - 2013년도 성인지예산서가 처음으로 작성된 이후 2015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성인지예산서 작성 사업 수와 예산액은 증가하여 2016년에는 13,865개 사업에 15조 3천억원의 성인지예산이 편성되었음(안전행정부, 2013: p.122; 안전행정부, 2014: p.141; 행정자치부, 2015: p.143; 행정자치부, 2016a: p.146 재구성) - 성인지예산서 작성 대상사업별로는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의 사업 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반면, 여성정책추진사업의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지방자치단체의 성인지예산제도는 그 규모면에서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예산의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신규예산편성이 가능한 주민참여예산제도와의 연계를 통해 보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개요 및 현황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예산의 편성권한을 주민과 공유하도록 하여 예산사업의 우순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주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임 - 2011년 지방재정법의 개정을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이 의무화되었으나, 실제로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법 개정 이전부터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였음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조례에 따라 운영되기 때문에 지자체의 정치·사회적 여건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운영되고 있음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사례 - 주민참여예산제도는 각 지역별 여건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기 때문에 제도운영을 보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파악해야 함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 본청, 광주광역시 북구, 울산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사례를 검토하였음

영문 초록

The budge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which is based on program budgeting, operates together with participatory budgeting, gender budgeting and performance budgeting. Performance budgeting focuses on achieving budgetary efficiency and performance management, while gender budgeting concentrates on attaining not only the management of budgetary performance by setting performance goals, but also fairness and fiscal transparency. On the other hand, participatory budgeting is a process which functions to enable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budgeting process and increase government transparency than achieve fiscal and economic efficienc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mon objectives of gender budgeting and participatory budgeting, the two systems can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such shared goals. Such linkage will allow each system to complement the problems or limits pertained in one system. Thus, this study sought to find a method of linking the operation of gender budgeting and participatory budgeting. Aligning gender budgeting and participatory budgeting has the benefit of supplementing the limits of each budgeting system. The potential effects of such linkage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First, it can bring the effect of budget allocation through the drafting of gender budget statements. Budget for the implementation of participatory projects are usually included as new budget items. By drafting gender budget statements for these new projects, analysis of gender inequality of the project as well as the inclusion of new budget items becomes feasible. Second, performance management of participatory projects is possible through the preparation of gender budget statements.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current participatory budgeting is the abse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Gender budgeting will help fill this absence by enabling partial management of performance, and thus meet the requirement for a possible budget increase for participatory projects. Third, gender-sensitive execution of participatory budgeting can be realized. This entails that not only the gender composition of the Participatory Budget Committee but also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project themselves will be subject to gender-based assessments. Such budgeting process will help contribute to the fairness of the budgeting system. Fourth, the selection of gender budgeting projects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can be expected. Currently, gender budgeting projects selected by local governme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 portion of those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each region is relatively low. As participatory projects are selected by local citizens, it is more likely that projects which are most vital to the community and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will be chosen. Thus, the inclusion of such projects to gender budgeting projects will lead to the increased portion of projects catered to the needs of local regions.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ways local governments operate the budget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linking gender budgeting and participatory budgeting, this study presented a way to link the two from the perspective of budgeting process, system operation, target project and performance management.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budgeting process, while gender budgeting follows the overall process of allocation-execution-evaluation- settlement-feedback, participatory budgeting is mostly associated with the allocation phase. Thus, a possible way of linking the two budgets would be by drafting gender budget statements after the budget allocation for participatory projects, and later executing and settling the gender budget accounts.

목차

Ⅰ. 연구개요
Ⅱ.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개요 및 현황
Ⅲ.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
Ⅳ. 종합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범(Soo-Bum Park),김희경(Hee-Kyong Kim),권도연(Do-Yeon Kwon). (2016).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52), 1-116

MLA

박수범(Soo-Bum Park),김희경(Hee-Kyong Kim),권도연(Do-Yeon Kwon).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산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연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52(2016): 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