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가족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354

영문명
A Basic Study for Utilizing Gender Big Data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문유경(You Kyung Moon) 김영택(Young Taek Kim) 박건표(Geon Pyo Park) 차지영(Chiyoung Cha)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수시과제), 1~104쪽, 전체 10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15,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서 론 □ 현대 사회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고, 기업은 물론 정책결정자들과 연구자들도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이 필수적이 되고 있음. 빅데이터는 이러한 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음. - 여성가족 정책 수립과 연구 역시 지금까지 성인지 통계의 생산과 활용에만 의존하였던 것에서 탈피해 다양한 빅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기존에 하지 못했던 사각지대를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Ⅱ.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정의와 범주 □ 빅데이터 처리과정의 특성상 데이터가 초기부터 통계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있기 보다는 복잡하고 다양한 분석과정을 통해 빅데이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됨. □ 여성가족 빅데이터라는 개념은 사후적으로 여성과 가족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빅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이 적합하나 이러한 귀납법적인 접근방식으로는 빅데이터를 활성화 하는데는 한계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성가족 빅데이터를 단정적으로 정의하기 보다는 어떤 성격의 자료들이 여성가족 빅데이터로 활용가능성이 높은지를 탐색하였음. - 첫째, 여성가족 빅데이터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자료들은 여성정책의 수행과 연구를 위해 지금까지 발생된 자료들이라 할 수 있음.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지방자치단체 여성가족 관련 부서, 지역의 여성정책연구소 등에서 축적된 자료들이 있음. 국가승인통계, 행정업무에서 발생한 통계, 각종 행정자료, 시설 및 센터에서의 실적과 상담자료, 복지사업의 대상자관련 자료, 홈페이지와 해당 페이지 로그인 자료 등을 주제에 맞추어 결합할 경우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새로운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음. - 둘째, 빅데이터의 생산과 활용에 성인지적 관점을 포함하거나, 성별 분리를 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데이터를 예상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서울시의 ‘서울시 정책지도’나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는 기초적인 행정자료와 지리정보 등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한 획기적인 정책서비스임. 이와 같이 빅데이터의 구축에 있어서 성별차이를 보여주거나, 여성이슈 등을 고려한 내용을 포함한다면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범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셋째, 기존의 빅데이터 자료 유형들에 대해 성별로 분리하거나 여성 주제를 반영할 경우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신용/직불카드 금융자료 등이 현재 주요 빅데이터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 성별 이슈를 반영하여 신용불량자가 되는 원인이나 유형, 패턴 등을 신용카드 거래자료와 개인별 소득자료, 가구소득 자료 등을 연결하여 본다면 남성과 여성의 신용불량자 유입 경로의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고, 성별로 적합한 예방책을 만들 수 있음. Ⅲ.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을 보면 범정부 정책으로 현 정부는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로 구성된 범정부 빅데이터 추진협의체를 구성하고 데이터의 창조적 활용을 통한 스마트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하는 추진전략과 목표를 수립함. - 추진과제로 6개 분야 빅데이터의 16개 대상과제를 제시하고 국민수혜, 유용성 등을 고려해 3개 과제를 우선추진과제로 선정하였음. □ 2013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빅데이터 산업 발전전략은 3개 분야의 8개 추진과제를 수립하였음. - 이 전략은 국가차원의 빅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고 빅데이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하고 있음. □ 주요 부처의 빅데이터 활용계획으로는 통계청, 국민안전처 등이 있음. - 통계청은 2015년 10월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작성을 위해 통계데이터허브국에 빅데이터통계과를 신설함.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작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데이터 간 융·복합 사례를 발굴해 빅데이터 활용 확산에 나서고 있음. 데이터를 연계하고 분석결과를 확산하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허브 기능을 수행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음. - 국민안전처는 2016년 전통적인 재난·안전 업무방식에 빅데이터를 접목시키기 위해 재난예방 및 대응, 정책수립 지원, 활용기반 구축 등을 목표로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을 수립함. 이 계획에는 2020년까지 5년 동안 12개의 신규과제와 5개의 기존과제를 포함 총 17개 과제가 있음. □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하에 부처의 과제 공모를 통해 최종 4개 부처에 대해 컨설팅을 진행함. - 4개 부처의 하나인 여성가족부는 ‘13-’14년도 새일센터의 구인기업, 구직자, 취업자 특성과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data is increasing from collection to its utilization day by day, and decision-making based on data is sine qua non for decision-makers and businesses as well as researchers. Big data, in particular, has become an essential concept in the use and analysis of data.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big data, and proposes future works for gender policy and its supporting researches. This study examines which types of data are more likely to be utilized, and defines three characteristics based on it: firstly, data which have been produced so far for the gender policy; secondly, data which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inclusion of gender perspective in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 thirdly, data that the established big data are sorted by sex or data reflecting themes related to women and family. This study proposes to establish government plans for national strategy and data governance in favour of Gender big data. Especially, it is necessary (1) to sort raw data of women and family policy in big data; (2) to establish and to manage data-base of Gender big data; (3) to improve gender perspective in the government projects for big data; (4) to support fundamental researches for Gender big data. The research areas which need to be studied in future are: (1) to excavate themes for women and family policy which needs big data research, and to examine the big data production plan; (2)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on survey statistics in state statistics related to women and family policy; (3) to investigate on ways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in surveys through the link to big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정의와 범주
Ⅲ.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분석
Ⅳ. 해외의 여성가족 빅데이터 활용전략 및 사례
Ⅴ. 결론 및 정책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유경(You Kyung Moon),김영택(Young Taek Kim),박건표(Geon Pyo Park),차지영(Chiyoung Cha). (2016).여성가족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52), 1-104

MLA

문유경(You Kyung Moon),김영택(Young Taek Kim),박건표(Geon Pyo Park),차지영(Chiyoung Cha). "여성가족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52(2016): 1-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