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이용수 136

영문명
Government Access to Personal Data and ISPs’ Response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박훤일(Park, Whon-Il)
간행물 정보
『경희법학』제51권 제2호, 277~3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6년 3월 대법원은 세간의 화제였던 ‘회피 연아’ 사건에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경찰에 통신자료를 제공한 NHN의 행위가 적법하였다며 원고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는판결을내렸다. 원심이ISP에대한통신자료요청시법원의영장을요한다고한것을뒤집은 것이다. 3월 초에는 많은 논란을 빚은 테러방지법이 국회를 통과하여 정부기관의 ISP에대한 통신자료 요청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2013년NSA에서일하던스노든이미정보기관의글로벌감시(PRISM) 프로그램을폭로한이후 각국은 정부기관의 정보접근에 매우 민감한 실정이다. EU에서는 2015년 10월 최고재판소가 정부기관의 ISP 정보열람이 허용되는 미국과 EU가 맺은 세이프하버 협정이 무효임을선언하였고, 12월에는회원국에직접법률로서효력을갖는GDPR이확정되었는데정부기관의 정보열람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6년을 끌었던 ‘회피 연아’ 사건의 본질은 수사기관이 ISP가 보관하는 개인정보를 어느 범위까지 어떤 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로 요약할 수 있다. ISP가 수사기관의 통신자료 제출요청에 응할지 여부는 관련법에 그 기준과 절차가 정해져 있다. 이용자 인적사항은 익명을많이 쓰는 ID를 제외하고는 전화번호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신성불가침이 아니고, 프라이버시권이 ‘홀로 있을 권리’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으로 바뀐 것처럼 빅데이터, 핀테크 등에 필수적인 개인정보는 ‘IT편의성을 증진하는개인의 특권’으로 변모하고 있다. 정보주체의 권리인 만큼 자신에 관한 정보가 오·남용되는것을 알았다면 지체 없이 시정하고 이를 야기한 책임자가 있다면 그로부터 응분의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대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ISP는 이용자들의 항의나 손배청구 소송을 우려하여 수사기관의 통신자료 제출요청에 영장 없이는 응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한다. 개인정보 유출이나 오·남용 피해를 입은 개인에 대하여 ARCO(열람·정정·거부)권을 보장하고, 시차를 두더라도 개인정보가 수집된 정보주체에 대해서는 통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In March 2016, the Supreme Court rendered a noteworthy decision that an Internet portal service provider (ISP) need not pay compensation to the plaintiff who argued the ISP had provided his personal data to police without his consent. The highest court reversed the appellate court ruling which said ISP’s provision of such personal data required the court warrant on account of customers’ constitutional rights of self-determination and anonymous speech. The above Supreme Court decision came right after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controversial Anti-terrorism Act, which authorizes the head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previously known as the Korean CIA)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as well as location information of a certain terrorist suspect from ISPs pursuant to the existing laws. Since Edward Snowden disclosed the global surveillance (PRISM) programme of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to the world in June 2013, the government accesses to personal data in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a hot issue around the world. At this juncture,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declared the Safe Harbor Agreement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invalid. In December 2015,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which is legally binding all member states and strictly limiting government accesses to personal data, was consolidated to become effective in May 2018. The main question of the six-year long “Minister Avoiding” Yuna litigation seemed to be to what extent the government investigation agency may access to personal data stored by ISPs, and whether the government agency may request ISPs to provide simple personal data without court warrants.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provides the statutory ground for ISPs to respond to such requests. The scope of personal data requested by the prosecutors or police officers is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and email address, which is usually contained in an ordinary business card. It should be noted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no more sacrosanct right in the Information Age. Historically, the right to privacy has changed from the right to be let alone (as termed by Warren and Brendeis) to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Nowadays personal information, subject to appropriate processing of de-identification or anonymization, has become inevitable to Big data and Fintech businesses. Then the right to privacy has turned out to be an individual privilege to enhance IT convenience. Also any data subject should be ensured the rights to access, rectification, cancellation and objection (ARCO) relating to his/her personal data and the effec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remedies including pecuniary compensation and punitive damages, if necessary, in case of abuse or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At the moment, the above mentioned Supreme Court decision is not supposed to change the year-long practices that government agencies need to obtain warrants in order to have personal data disclosed by ISPs. After the said Supreme Court decision, big portal operators seem to maintain their policy of no-more-cooperation with the investigation authority. It’s because they know the failure to disclose personal data to the government agency would cause no punishment but clamorous requests from investigators while any delivery of personal data would bring avalanche of users’ lawsuit for damages. In the long run, the awareness of privacy or increasing inclination towards IT convenience on the part of users could determine the future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nd the prevailing government practices.

목차

l. 머리말
ll. 정부기관 앞 통신자료 제공에 관한 대법원 판결
lll. 원심과 대법원 판결의 비교·분석
lV. EU 사법재판소의 쉬렘스 판결
V. 정부기관의 정보열람에 대한 안전대책
Vl. 결 론 - 새로운 개념정립의 필요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훤일(Park, Whon-Il). (2016).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경희법학, 51 (2), 277-302

MLA

박훤일(Park, Whon-Il).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경희법학, 51.2(2016): 277-3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