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 이황 이전의 맹자학 연구

이용수 210

영문명
Studies on Mencius Prior to the Toegye Yi Whang Period : With focus on the period betwee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King Seongjong’s reig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함영대(Ham, Young-dae)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0輯, 117~15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퇴계 이황 이전 조선전기 학자들의 맹자 이해의 면모를 검토하는 일련의 논문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선초에서 성종대를 검토했다. 조선은 1392년에 개국되었고 1420년대에 이미 수입한 대전본 경서를 간행하였지만 맹자 주석서는 그로부터 150여년이나 뒤에 나타났다. 이는 고려말에 이미 원대 주자학을 수용하고, 세종 성종대에 상당한 수준의 성리서들이 제출된 현실에 비추어 이례적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孟子 註釋書의 탄생을 지연시킨 당대 조선의 학술적 환경을 몇 가지 논점으로 검토했다. 맹자학을 인식하는 선초 군주와 관료들의 인식이나 관각의 경향 등을 검토했으며, 실용적 학풍과 원대 성리학의 영향, 왕실의 불교애호, 그리고 유학자들의 텍스트에 대한 이해수준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 초기의 학술환경이 맹자 주석서를 제출할 만한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진단했다. 주자학의 교과서적 이해가 강요될 만한 교조적인 분위기가 아니었고, 과거 역시 경전공부와 직접 관련되는 明經보다는 製述 위주의 관습을 이어갔다. 문정왕후까지 이어진 왕실의 불교애호는 민간의 저변에 불교식 관습을 가능하게 했다. 무엇보다 語錄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주석서 저작에 필수적인 大全本 經書에 대한 정확한 독해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이 결과적으로 孟子學의 부진을 낳았다. 그러나 주석서의 제출을 단순히 학술상의 발전으로만 인식할 것은 아니다. 국가적 사상통일의 결과물로 제출된 교정청본 언해와 그에 따른 주석서의 폭발적인 증가는 경서주석이 학술논쟁이지만 일종의 국가의 통제 가운데 하나이 고, 사상적 강박임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part of a series of papers designed to examine the research and understanding the “Mencius” among scholars in early Joseon Dynasty period prior to the Toegye Yi Whang era. Established in 1392, Joseon published the Confucian classics imported in the 1420s but the Mencius commentary did not appear 150 years after that, which is unusual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doctrines of Chu-tzu were accepted late Goryeo period and that a considerable level of neo-Confucianism books were presented during the King Sejong’s and Seongjong’s reign period.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academic environment of the Joseon Dynasty, which delayed the birth of Mencius commentari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subject of examination includes the perceptions of kings and high-ranking officials in early Joseon period, trends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effects of practical academics and neo-Confucianism back then, royal family’s love and affection toward Buddhis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exts among Confucian scholar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academic circumstance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did not allow the presentation of the Mencius commentaries. No doctrinaire atmosphere to force the textbook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s of Chu-tzu was created whil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continued their tradition characterized by evaluating literary competencie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studying scriptures. The royal family’s love and affection toward Buddhism, which was sustained up to the Queen Munjeong’s reign, resulted in Buddhist customs established throughout the private sector. Above all, a lack of understanding of quotations stood in the way of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is required to write the commentaries. These complex circumstances led to the failure of the doctrines of Chu-tzu. However, it is far-fetched to consider the presentation of the commentaries alone as the academic development. An explosive increase of the Korean annotations of Chinese classics by the national correctional agency and their accompanied commentaries is a paradoxical representation of sort of a national control and academic coercion although the commentaries of the Confucian classics are in the heart of academic disputes.

목차

1. 문제제기
2. 맹자 인식의 양상과 그 저변
3. 맹자학, 또는 경학의 부진
4. 남는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영대(Ham, Young-dae). (2017).퇴계 이황 이전의 맹자학 연구. 대동한문학, 50 , 117-151

MLA

함영대(Ham, Young-dae). "퇴계 이황 이전의 맹자학 연구." 대동한문학, 50.(2017): 117-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