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이용수 279

영문명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Patterns of Inscribed Poem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보경(Kim, Bo-kyeo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0輯, 5~5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 명 특히 압운이 된 명시를 중심으로 그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을 고찰했다. 찬자의 성격, 작자 의식, 형식과 주제적특성 등을 고려하여 모두 네 시기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11세기이다. 50여 년간 6편의 명이 남아 있다. 이 시기는 묘지명 양식이 도입되어 고려에 정착, 현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12세기에 걸쳐 있다. 숙종~의종 초의 명은 50년간 30여 편이 남아 있다. 知制誥가 찬명에 참여하면서 명이 형식의 완정과 전아미를 더해 갔다. 의종초~명종대에는 30여 년간 70편가량 지어졌다. 이 시기에는 명의 양적 확대와 단형화 현상이 보이며, 대체로 간결하고 진솔한 경향을 띤다. 세 번째는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이다. 13세기 전반까지 50년간 50여 편이 있다. 이규보가 찬명을 주도하면서 명은 실용양식을 넘어 예술양식의 궤도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70년에 30여 편 지어졌다. 패턴화 양상이 보이지만 자찬 묘지명의 출현 등 양식적 실험이 시도되는 성과가 있었다. 네 번째는 14세기에 걸쳐 있다. 사대부의 성 격을 공유하면서도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는 시기이다. 최해는 명의 개성화 방향을 제시했고, 이곡은 명의 관례에 충실한 편이었으며, 이제현은 명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이색이 주도하면서 명을 사대부의 양식으로 가다듬는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 묘지명 명시는 묘지명 양식의 도입과 함께 역사가 시작되어, 적응과 정착, 성숙과 다변화, 운용의 다양성과 양식적 실험, 양식 독점에 따른동질성과 개성의 길항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그 과정에서 명시는 序와 관련을 맺으면서도 부속품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자신의 영역을 구축해 갔다. 그것은 실용적 성격을 기본으로 하되 한편으로는 예술적 성격을 확대하는 방향이다. 이 점에서 명시는 고려시대 묘지명역사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한문학 역사의 특징적이고 핵심적인 굵은 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patterns of the inscription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rhymed inscribed poems. The time when the poems were written was classified into four time periods based on the writers of inscribed poems,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the forms and themes of inscribed poems. The first is the 11th century. There remain 6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at period. This period shows the process where the styl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was introduced, settled and localized in Goryeo. The second spans over the 12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3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 s reign to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As Jijego(official transcriber of royal decrees and edicts) participated in writing inscriptions, inscriptions improved in the completeness and chicness of style. About 7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30 year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to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 s reign. This period had a remarkable tendency towards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shortened forms of inscriptions along with a tendency of their being largely plain and simple. The third is the period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early 14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5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s Lee Gyu-bo took the lead in writing inscriptions, they were on the track of an artistic style beyond a practical style. In the ensuing period, about 3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70 years. They were patterned and also style experiments, such as self-written memorial inscriptions, were attempted. The fourth spans over the 14th century. It is a period when inscriptions shared the characteristics of scholar officials and revealed their own unique features. Choi Hae presented the direction of individualization of inscriptions; Lee Gok followed the practices of inscriptions faithfully; Lee Je-hyeon opened a new world of inscriptions. In the following period, Lee Saek took the lead in refining inscriptions into the style for scholar officials. The history of the inscribed poem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memorial inscriptions style, and continued to grow and change through the processe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maturity and diversification, the diversity and style experiment of operation, and the antagonism of homogeneity and individuality due to the monopoly of style. In that process, the territory of the inscribed poem was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with prefaces and without staying in the position of accessory or attachment. The territory was based on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oriented towards exp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inscribed poem is a characteristic and central branch of not only the history of the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period but also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is period.

목차

1. 서언-고려시대 묘지명과 명시
2. 명시 장르 인식 및 작품 개관
1) 장르 인식
2) 작품 개관
3. 명시의 양상과 미학적 특성
1) 양식의 정착과 적응의 양상
2) 안정과 확산, 미감의 다변화
3) 운용의 다양성과 양식적 실험
4) 독점, 동질성과 개성의 길항
4. 결언-고려시대 묘지명 명시의 특성과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경(Kim, Bo-kyeong). (2017).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대동한문학, 50 , 5-51

MLA

김보경(Kim, Bo-kyeong).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대동한문학, 50.(2017): 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