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

이용수 52

영문명
Recognition Constituents on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동원(Lee, Dong Won) 문대영(Moon, Dae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1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24명과 초등학교의 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인식 구성 요인과 교사 인식 구성 요인은 각각 7개씩으로 분석되었다. 학생은 ‘학습 방법요인’, ‘학습 내용 요인’, ‘가치 요인’, ‘개인적 선호 요인’, ‘진로 요인’, ‘유용성 요인’, ‘실생활 관련성 요인’으로 구분되어 졌으며 교사는 ‘교육 내용 요인’, ‘교육 방법 요인’, ‘개인적 선호 요인’, ‘유용성 요인’, 직업ㆍ생활 요인’, ‘가치 요인’, ‘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생의 인식 구성 요인 내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내에서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 인식 구성 요인과 교사 인식 구성 요인 간에는 학생 인식 구성 요인 2가지와 교사 인식 구성 요인 5가지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execut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constituents on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 hav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perform factor analysis after the questionnaires. Through this we found the recognition constitu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 also us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recognition constituent corre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find correlation. Analysis groups were executed with 524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 students and 2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and teacher’s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7 factors respectively.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 way factor , Learning contents factor , Value factor , Personal preference factor , Career factor , Usability factor , Real life relevance factor . Teachers were categorized to Educational contents factor , Educational method factor , Personal preference factor , Usability factor , Occupation & life factor , Value factor , Characteristic factor . Secondly, we fou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of students and significant correlation in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of teachers. Thirdly, we fou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of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of students and five factors of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of teache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ent s and teacher s recognition configuration factors have a meaningful correlation. If we take into account these factor bases when considering Practical Arts we can improve on recognition in Practical Ar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원(Lee, Dong Won),문대영(Moon, Dae Young). (2008).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 (3), 1-19

MLA

이동원(Lee, Dong Won),문대영(Moon, Dae Young). "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3(2008):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