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평가

이용수 394

영문명
Evaluation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원(Kim, Jeong-Weon) 이은주(Lee, Eun-Ju)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4호, 17~3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을 점수로 산출하여 식생활 현황을 진단하고, 초등학 생의 식생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선별해 냄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식생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14개 초등학교 343명의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목적에 맞게 구성·개발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 초등학생들의 식습관 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76.94점, 식생활능력 점수는 80.85점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식습관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p<.05), 부모님 학력이 높을수록(p<.05),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p<.001) 유의하게 높았다. 식생활능력 점수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p<.01), 고학년이 저학년보다(p<.001), 부모님 학력이 높을수록(p<.05), 그리고 경제적 수준(p<.001)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점수 모두 가정의 사회경제적 상태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습관 점수가 높은 집단이 식생활능력도 높게 나타나 둘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에서는 식생활교육 시작 시기를 초등학교 저학년이라고 답변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식생활정보는 가족에게서 얻는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식생활교육방 법을 묻는 질문에는 실습 등 체험학습을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식생활능력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초등 저학년부터 좋은 식습관과 식생활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식생활교육이 수행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모두 부모님의 학력, 경제적 수준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상태가 큰 영향요 인으로 드러나, 상대적으로 학교에서 저학년부터 지속적인 식생활교육을 실시하여 이 격차를 해소하 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 condition of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by finding out influential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their food literac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were assessed through a survey by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52 ques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3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76.94 and 80.85, respectively, suggesting the needs of improvement. 2.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3 categories of gender(p<.05), parents’ education level(p<.05), and economic level(p<.001). Girl students, students with their parents of higher education and higher economic level achieved higher scores in dietary habits. The scores of food literacy also appeared higher in the students with better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3.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swered that dietary education needs to start from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rimary source of dietary information was their family, and the most favored dietary education was cooking. Above results prov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and suggest the needs of dietary education from the early stage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socioeconomic status including the parents’ education and economic levels turned out the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children’s dietary habits and food literacy, the role of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stressed to overcome the gap among students who are in different socioeconomic level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및 해석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원(Kim, Jeong-Weon),이은주(Lee, Eun-Ju). (2014).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평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4), 17-37

MLA

김정원(Kim, Jeong-Weon),이은주(Lee, Eun-Ju).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평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4(2014): 1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