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제기 지상 과제로서의 ‘생활’과 ‘화평론’

이용수 136

영문명
Life as the Supreme Task and ‘Peace’(和平) in the New System Era : Focusing on Park Tae-won s Novel Dawn of Asia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서은주(Seo Eun ju)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5집,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박태원 문학에서 예외적인 작품으로 알려진 「아세아의 여명」을 대상으로 소설 속 주요 가치로 제시된 ‘화평론’에 주목하여 독해하고자 한다. 그동안 「아세아의 여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시아주의’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 결과 이 소설은 신체제기 박태원 문학의 ‘친일’ 혐의를 입증하는 근거로 논의되어왔다. 전통 혹은 동양에 대한 박태원의 남다른 소양과 애호가 ‘아시아주의’를 쉽게 수용했을 것이란 시각에서 신체제에 협력하게 되는 박태원의 내적 동기나 의식구조의 인과적 맥락을 밝히는데 강조점을 둔 것이다. 이 글은 「아세아의 여명」에서 가장 중요하게 관철되는 작가의 목소리를 ‘화평론’으로 파악하고, 따라서 ‘아시아주의’에 집중된 기존 논의와는 다른 입각점에서 접근한다. 이과정에서 박태원 문학세계를일관되게 추동하는 작가적 태도 혹은 가치로서 ‘생활’을 의미화하고자 한다. ‘생활’에 방점을 둔 박태원의 지향이, 일상(생활)을 극단적 파괴와 단절로 내모는 전쟁을 강력하게 혐오하게 만들었고, 이것이 「아세아의 여명」을 통해 왕조명의 ‘화평론’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표출되었다고 본다. ‘화평론’이 친일합작의 대외적 명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논란의 대상임에 분명하지만, 엄혹한 시대상황에서 왜 박태원이 ‘화평론’을 제기하였는지를 탐색하는 과정은 박태원 문학의 기저를 관통하는 태도 혹은 정신을 해명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read Park, Tae-won’s novel Dawn of Asia by regarding ‘peace’ as a theme or a voice of writer, whose theme held as ‘asianism’ and the ideology has been thought as pro-Japanese evidence of writer in previous studies. But his paper argues that his voice emphasize ‘life’ as the important value, with suggesting “peace” as the main theme in the work. “Peace (和平)” in the work was from Wang Jingwei who was a famous pro-Japanese politician of China in the New System Era(新體制期). Park, Tae-won proposed “peace” as the value for “life”, with hating war destroying everyday life of people, however. For him, indeed, “life” is the supreme task in that time, which is also a main theme in his all literary world as well as Dawn of Asia. In short, Park’s idea of “peace” in the dark ages is a key to the base or sprit of his literatures, though “peace” was a pretext for pro-Japanese collaboration.

목차

1. 문제의식의 출발 - 신체제기 문학 연구의 쟁점
2. ‘생활지상주의’라는 모더니티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3. 신체제, ‘아시아주의’와 ‘화평론’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은주(Seo Eun ju). (2016).신체제기 지상 과제로서의 ‘생활’과 ‘화평론’. 구보학보, 15 , 43-68

MLA

서은주(Seo Eun ju). "신체제기 지상 과제로서의 ‘생활’과 ‘화평론’." 구보학보, 15.(2016):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