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이용수 173

영문명
The meaning of Cheongdae Gwon Sang-il manage ‘Cheongdae-Gugok’(淸臺九曲)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조유영(Jo Yu-you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9輯, 249~28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8세기 중반 문경지역 금천을 배경으로 淸臺 權相一(1679~ 1760)에 의해 경영되었던 淸臺九曲과 <淸臺九曲詩>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권상일은 조선 후기 영남 남인으로는 이례적으로 영달한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평생 진퇴를 거듭하면서도 학문과 수양에 더욱 매진했 으며, 흔들리던 퇴계학맥의 입지를 재구축하고자 노력했던 성리학자였다. 그리고 그가 만년에 은거했던 尊道書窩와 청대구곡은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유자적 삶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청대를 포함한 조선 후기 영남 남인들은 구곡 경영을 통해 유가 수양론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학문적 종장이었던 퇴계의 산수 인식을 적극적으로 계승한 결과였다. 그리고 그들은 구곡문화를 하나의 문화규범으로 만들어 나갔기에, 영남 지역의 구곡문화가 이후 더욱 확대 되어 나갈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영남 남인들은 향촌의 세거지를 중심으로 구곡원림을 설정하고, 구곡문화를 향유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조선 후기 영남지역 남인들의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조선 후기 독점화된 정치권력의 구도에 의해 향촌에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은 흔들리는 향촌 내의 입지와 사족 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현들의 은거를 전범으로 삼아 세거 지에 정사를 건립하고 구곡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구곡시 창작이나 구곡도 제작 등을 통해 구곡문화를 더욱 활발히 향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청대의 존도서와 건립과 청대구곡 경영은 이러한 조선 후기 영남 지역 구곡문화의 표지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그가 경영한 청대구곡은 주자의 무이구곡 경영을 전범으로 삼아, 구곡이 가지는 유가적 이상 공간으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향촌에 구현하고자한 결과였다. 조선조 사대부들이 창작했던 다수의 구곡시에 형상화되는 구곡은 일반적으로 현실과 유리된 이상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청대구곡시>에 형상화된 공간은 현실과 밀착된 공간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결국 청대가 청대구곡 경영을 통해 꿈꾸었던 이상향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 공간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며, 또한 자신이 살아가는 현실 공간의 이상화가 청대 권상일이 꿈꾸었던 청대구곡이었음을 그의 구곡시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Gwon Sang-il exceptionally hold high government position in Nam party in Yungnam. However, he was devote himself to Neo-Confucianism and cultivate his mind in his life. He retired to hermitage in ‘Jondoseowa’(尊道 書窩) and ‘Cheongdae-Gugok’(淸臺九曲). There are symbolic area of his Confucian scholar s life, and subject matter of (尊 道書窩記), (淸臺九曲詩). Generally gugok poetry has detachment from reality spatial awareness, but ‘CheongdaeGugok’ has associate from reality spatial awareness cause of there is Gwon Sang-il s meatspace and he aimed idealize real space. Nam party in Yungnam include Gwon Sang-il actively fulfill NeoConfucianism selfcultivation-discourse by managing gugok. It is the result of accept wholeheartedly Toegye s landescape awareness. They build a cultural norm from gugok-culture, so gugok-culture could be extende in Yungnam area. Also Nam party in Yungnam set gugok centrally clan village is important feature. They tried position in country and establishment of country aristocrat identity by build ‘Jeongsa’(亭舍) and managing gugok on classic of ancient sages retirement, and enjoy gugok-culture which are writing gugok poetry and creating gugok painting. These are typical case of gugok-culture of Yungnam in late Joseon dynasty.

목차

1. 서 론
2. 청대구곡 경영의 사회문화적 동인
1) 권상일의 삶과 영남 남인의 정치 사회적 상황
2) 유가 수양론의 실천과 문화규범으로서의 구곡문화
3) 세거지 중심의 구곡 경영과 향촌사족으로서의 정체성 확보
3. 청대구곡 설정과 <청대구곡시>
1) 청대구곡의 설정 방식과 지향
2) <청대구곡시>에 대한 분석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유영(Jo Yu-young). (2016).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 49 , 249-286

MLA

조유영(Jo Yu-young). "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 49.(2016): 249-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