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심과 주변을 통해 본 가야 설화 연구

이용수 510

영문명
Research on Kaya Folklores Seen through its Center and Around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국희(Kim Kuk Hee)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4집,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전기 가야의 맹주였던 김해 가락국의 설화와 같은 시기에 존재했던 부산의 거칠산국 설화를 대상으로 가야 설화의 범주 안에서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가락국은 지역 내의 풍부한 자원과 남북을 잇는 교역으로 가야 제국(諸國) 중에서도 선두로 발전하여 주변국에 우수한 문화를 전파했다. 신라 및 백제와 정치적 긴장관계에 있었고 크고 작은 접전이 있었지만, 자국의 영토를 강탈당하거나 짓밟히지는 않았다. 반면 부산의 거칠산국은 가락국으로부터 발달된 문화를 받아들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지만, 인접한 신라와의 전쟁으로 인적·물적 피해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역사적 상황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은 설화 전승에도 영향을 주었다. 가락국 설화인 ‘김수로와 허황옥의 혼인’ 설화는 거인 여성신 이야기의 모티브를 받아들여 생산적인 발전을 제시한다. 또 ‘황세장군과 출여이’ 이야기의 경우 남녀 주인공은 결별하지만 신라와의 전쟁에서 승전하고 있어 온전한 비극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에 비해 거칠산국의 설화인 ‘고씨할매당’ 전설은 남편과 영별해야 하는 아픔을 담고 있고, ‘장사바위’와 ‘진계등’에는 신라와의 접전에서 거칠산국이 패망하는 역사적 사실이 반영되어 있다. 가락국은 신라에 항복했으므로 온전히 보존되었고, 후에는 신라 왕실의 외척으로 대우받았다. 따라서 설화의 내용 또한 가락국의 여명기를 중심으로 전승되면서 지역민의 자부심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패망한 후 자취마저 사라져버린 거칠산국의 설화는 마지막 접전을 중심으로 전승되면서 지역민의 아쉬움과 한을 담고 있다.

영문 초록

While Busan, a big city, looks likes a center now, Kimhae was a center when there was Karakguk in the times with Kaya states spread, and Busan was a periphery part with Kuchilsanguk. Karakguk as a center was capable of progressing by both abundant steel resources and trading with northern and southern areas, thus spreading its superior culture to nearby nations. Despite political tension with Shilla and Baekje and small or big fierce battles, its territory was not robbed or intimidated. In the meantime, Kuchilsanguk in Busan accepted the developed culture from Karakguk and rose to a matched powerful nation only to face with human and physical damages because of the close proximity to Shilla causing frequent fights. These historical situations affected folklore transmission of the area. First of all, a marriage folklore of Suro and Huwhangok, one of the folklores related to Karakguk received a motive of giant goddess story and presented a productive progress. In a story of a general Hwangsei and Chulyui, Hwangsei is a tragic main character who won a victory with Shilla but failed to gain a private love. This story is truly a tragedy but a beautiful tragedy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folklores connected with Kuchilsanguk contain a bitter feeling of complete suppression. Kossi Halmaedang story, which is referred to as a birth myth of Kuchilsanguk, includes the pain from parting with a husband taking a step back. The stories of Agijangsu(a young general) and Jinkedung reflect a downfall of Kuchilsanguk due to bad timing during a violent battle with Shilla. The perception of Kaya locals have had for years is strongly expressed in these folklores. As Karakguk surrendered, it was not overridden and treated as a maternal relative of Shilla Court. Consequently, the folklores, passed down on the basis of the dawn of Karakguk, also have locals pride, In contrast, the folklores of Kuchilsanguk, which was attacked, destroyed and lost its trace, reflect locals regrets and agony focused on its downfall perio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가락국과 거칠산국의 관계
3. 가야 설화의 역사성과 향유층의 의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국희(Kim Kuk Hee). (2016).중심과 주변을 통해 본 가야 설화 연구. 한국문학논총, 74 , 5-34

MLA

김국희(Kim Kuk Hee). "중심과 주변을 통해 본 가야 설화 연구." 한국문학논총, 74.(2016):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