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이용수 248

영문명
Study on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송정윤(Song Jung yoon) 장은섭(Jang Eun seob)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0輯, 7~4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쓰기의 사고 과정은 학습의 사고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로 인해 쓰기는 학습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의 도구로써 쓰기는 범교과적 글쓰기, 내용 영역 글쓰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는데, 본고에서는 쓰기가 학습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학습을 위한 쓰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제까지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1)이의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들, 2)학습을 위한 쓰기를 적용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쓰기가 학습의 실행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3학년 학생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내용교과인 사회와 과학에서 수행하는 쓰기에 대해 물었으며, 크게 1)학습을 위한 쓰기를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 적합한 쓰기 유형 등에 대한 인식, 2)내용교과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쓰기 유형, 빈도, 길이, 학습을 위한 쓰기 활용의 실제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내용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첫째, 다수의 중학생들은 학습을 위한 쓰기를 유용한 학습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활용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 유형은 빈 칸 채우기, 짧은 답(단어, 문장) 적기, 수업 내용/교과서 요약하기와 같은 기계적 쓰기 활동이었으며, 완성된 글의 형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만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사회와 과학교과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 수행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불만족, 매우 불만족)’보다 ‘만족한다(만족, 매우만족)’는 경향을 보였으나, ‘60%’ 정도의 학생들이 ‘보통’이라는 응답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가 다양화되어야 하며,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유형의 쓰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쓰기가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가지는 가장 큰 강점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지 작용을 유도하여 종합적, 분석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극대화시켜 준다는 점이므로 다양한 쓰기의 형태를 각 교과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목표에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위한 쓰기의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해 알수 있도록, 쓰기의 도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활용 방안에 대한 지도가 국어 교과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행 측면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을 먼저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수업 주체인 교사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조사, 교재 분석과 수업의 관찰을 통해 학습을 위한 글쓰기가 수행 실태 분석이 이뤄진다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thinking process of writing is similar to the thinking process of learning. As writing is able to used to tool of learning. This article used a term ‘writing to learn’ instead of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contents area writing’ or ‘academic writing’. Major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1)making concept of ‘writing to learn’ and 2)verify effectiveness of writing to learn’. However there were lack in consideration that how students percept value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in scene of a school.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518 students of middle school(8 graders and 9 graders).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1) perception :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the most suitable writing type of writing to learn, and 2) practice : writing type frequently used in content area department, frequency of writing, length of writing, and efficiency of writing to lear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1) substantial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writing to learn is useful method to learn and they responded that writing to learn is really helpful for them. 2) mechanical uses of writing such as filling the blank, writing an short answer, and summarizing a textbook is usually used in the class. And 3) positive answers were superior in numbers than negative answers about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at they did, but 60% students answered “normal” ‘Writing to learn’ had the advantage that maximized synthetic, analytic and creative thinking as load active cognition. So We should focus on the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and a wide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Focusing in student’s perception, this article have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ceding researches. Studies about teacher’s perception of “writing to learn” and analysis of textbook and class lesson should be go on, they will be a systematic approach to “writing to lear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학습을 위한 쓰기의 개념과 연구 동향
3.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정윤(Song Jung yoon),장은섭(Jang Eun seob). (2016).중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어문연구, 90 , 7-43

MLA

송정윤(Song Jung yoon),장은섭(Jang Eun seob). "중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어문연구, 90.(2016): 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