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정한의 <인가지>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이용수 235

영문명
A Study on discourses about pro-Japanese play written by Kim, Jeong-han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정봉석(Jeong Bong seok)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2집, 219~24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43년 9월 『 춘추』에 발표된 이후 사장되었던 김정한의 희곡 <인가지>는 1966년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에서 처음으로 거명되고, 1989년 양승국이 엮은 『한국근대희곡작품자료집』에서 텍스트의 전문이 영인본으로 공개된다. 하지만 <인가지>의 친일극적 성격이 본격적으로 문단과 학계에서 공론화되어진 것은 2002년 박태일의 논문 「김정한 희곡 <인가지> 연구」가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이 글은 <인가지>를 둘러싸고 전개된 친일극 논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이 학계에 소환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우선적으로 정리하였다. 본론에서는 <인가지>를 둘러싼 김정한의 부일 행적을 이른바 ‘절필 담론’과 ‘피신 담론’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김정한은 조선어 교육이 금지되던 1940년부터 1966년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할 때까지 절필하였음을 밝혀왔다. 하지만 자전기록들과는 달리 1943년에 친일극 <인가지>를 발표하였고 광복기에는 좌익 계열의 소설들을 발표하였던 사실들을 비추어볼 때 그의 절필 담론이 허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제 말기에 식민지 지배기관이었던 ‘경남면포조합’에서 근무하였던 사실에서 <인가지>의 창작이 일제에 협력하였던 시기의 한 증좌임도 확인하였다. 피신 담론에서는 김정한이 해방 직전에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피신하였던 행적을 밝히고 있는데, 이 또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으며, 그진술의 일관성과 신빙성에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광복을 맞이하는 심경을 표현하는 대목에서도 모순적인 태도가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동안 형성된 민족주의적 저항 이미지와 우국지사의 이미지가 사실은 김정한이 스스로를 분식한 결과였음을 밝힘과 동시에, 일제 말에는 친일로, 광복기에는 좌익으로, 정부수립 후에는 보도연맹으로 세 번의 전향을 경험하게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가지>는 김정한이 윤색하고자 하였던 일제 부역 행적의 정점에 놓여있는 상징적 표상이다. 한동안 <인가지>의 텍스트 독법과 해석 문제를 둘러싼 찬반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발전적으로 계승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2부에서는 그 해석에 따른 쟁점들을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September 1943, which was written by Kim, Jeong-han died out after being published in . In 1966, was mentioned firstly in Im, Jong-Gook’s Pro-Japanese Literary Theory, and its full text was recovered through Korean Modern Drama Sourcebook edited by Yang, Seung-Gook in 1989. However, ’s pro-Japanese play characteristics became an official issue in the literary and academic world in Park, Tae-Il’s thesis, Study in pro-Japanese play “인가지” written by Kim, Jeong-han in 2002. This writing preferentially arranged a series of process of being recalled to the academic world to analyze the arguments of pro-Japanese play surrounding .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Kim’s trace of Japanophilism (pro-Japanese collaborationism) in with two discourses: 1) giving up writing and 2) hiding from arrest. Kim, Jeong-han announced that he gave up writing from 1940 to 1966, from the time when teaching Korean was banned by Japan and to the time when he wrote . However, his discourse of giving up writing was a false claim according to the fact that he published pro-Japanese play, in 1943, and he also published left-leaning novels in contrast to his autobiographical records. Furthermore, he worked at ‘Kyoengnam Textile Union’ which was an institution of colonial exploit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means that his creation of is evidence which shows that he collaborated to Japan consistently. At the same time, Kim wrote about his trace of escaping from arrest. He explained that he was pointed out as 不逞鮮人(ふていせんじん, Huteisenjin)from Japan right before the independence of Korea which made hide from Japan. It has some less convincing explanations, however, and questions are being asked regarding th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lso, his self-contradicting attitudes were found in the passage that he expresses his feelings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Through the analysis, this thesis could reveal that his images of nationalistic defiance and patriotism were made-up by himself.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Kim had turned three times into the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eft-wing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Bodo-League after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us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which is at the peak of pro-Japanese behavior that Kim tried to embellish. ’s pros and cons about the way of reading and interpretation have been debated for a while, but it couldn’t be developed and continued effectively in recent years. In part II, this thesis attempts to demonstrate issues depending on interpretations critically through the analyzing the texts.

목차

1. 들어가기
2. 박태일의 문제 제기
3. <인가지>를 둘러싼 부일 행적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봉석(Jeong Bong seok). (2016).김정한의 <인가지>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동남어문논집, 42 , 219-247

MLA

정봉석(Jeong Bong seok). "김정한의 <인가지>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동남어문논집, 42.(2016): 219-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