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청준 동화에 나타난 ‘죽음’과 ‘이별’의 형상화 방법과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311

영문명
A Study on embody method and emotional effects of death and separation in a Children s literature Lee, Cheong-jun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양정임(Yang Jung im)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2집, 191~2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청준은 인간 존재론적 물음을 화두로 작가로서의 외길을 걸어온 사람이다. 그의 문학 인생의 화두였던 존재론적 물음은 소설에서 동화로 연계되어 맥을 이루고 있다. 본고는 이청준 문학에서 한 줄기 맥을 이루고 있는 ‘이별’과 ‘죽음’ 모티프의 표출양상과 의미망을 동화 중심으로 고찰했다. ‘죽음’과 ‘이별’이란 원론적 물음을 동화라는 장르를 통해 풀어내기란 그리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아동문학이 감당해야 할 몫이다. 본 연구는 ‘이별’과 ‘죽음’ 모티프를 형상화한 이청준 동화의 문학적 의의와 아동독자에게 미치는 정서적 효과를 전망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현재 이청준 동화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하여 논의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다. 특히 동화연구 분야에서 아동에게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게 할 것인가? 하는 연구 또한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 학계의 관심이 필요하다. 그 어느 때보다 아동의 정서문제가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유의 연구가 매우 절실하다. 본 연구가 시도된 의의와 필요성 또한 여기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청준 동화에 나타난 ‘이별’과 ‘죽음’의 형상화 방법과 아동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할 수 있었다. ‘죽음’과 ‘이별’을 모티프로 한 이청준 동화의 공통점은 첫째, 중심인물과 대상관계, 인물과 사건 간의 긴장과 이완의 적합한 효과로 축약된다. 둘째, 이러한 장치의 효과는 작중인물과 독자의 외상 치유를 위한 기법으로 작동되고 있다. 셋째, 인물의 심리를 예리하게 포착해 ‘죽음’과 ‘이별’의 상황을 점진적으로 풀어내는 서술기법은, 아동독자의 정서에 걸맞은 장치로 작용한다. 특히 죽음과 이별에 대한 안정적 애도 과정의 묘사는, 인물의 외상 극복을 위한 서사장치로 작동하며, 아동독자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생성하고 있다. 다만 동화의 중심 독자가 아동인 점을 고려할 때 『동백꽃 누님 』의 접근방법은 다소 문제적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동백꽃 누님 』은 인물형상화와 작품의 구조적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성인 서술자의 지나친 개입으로 인해 부정적 정서가 과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21st century also know as the digital age. Children sensuous and visually exposed to the phenomenon. The children should be able to live in a healthy spirit. People should strive. This is the subject of the era. A study on death and separation motif centered Lee, Cheong-jun children literature. 『 a picture go out 』embody through the plant motifs. Death in the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growth process of the child expressing aspects of the evice. Death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hild readers green affiliative motif is appear. The son of a painter, death the process of mourning well about. A positive transference for children. 『story steal prankster 』 and 『pasqueflowers are a spring counting the tagger 』 are appear up in. Set the targer device as a positive object relations with narration. This is to give the child emotions are stable effect. But it is『 a camellia flowers elder sister 』 problematic elements. This children s story is a lot of emotion involvement adult. For all that, an excellent story quality. And in this work, you can leeway positive. Jun young s father in mourning through the draw process for making a portion of the device work, you can find a few positive.

목차

1. 머리말
2. ‘이별’과 ‘죽음’ 정서의 형상화 방법 - ‘외상’과 ‘대상관계’의 연관성
3. ‘이별’과 ‘죽음’ 모티프의 자연친화적 매개체와의 접속
- ‘긍정적 전이’와 ‘안정적 애착’의 상호성
4. 이별과 죽음에 대한 애도의 장치 - 애도 과정과 외상 극복의 관계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임(Yang Jung im). (2016).이청준 동화에 나타난 ‘죽음’과 ‘이별’의 형상화 방법과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논집, 42 , 191-218

MLA

양정임(Yang Jung im). "이청준 동화에 나타난 ‘죽음’과 ‘이별’의 형상화 방법과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논집, 42.(2016): 191-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