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레임으로 바라본 <도미설화>의 현대적 변용

이용수 189

영문명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ale of Do-Mi” Seen from Frame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민옥(Kim Min 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3집, 345~37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16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도미설화>를 현대적으로 수용한 소설 박종화의 「아랑의 정조」와 최인호의 『몽유도원도』를 프레임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서사구조를 파악해 설화의 구조적 확장과 변모과정을 살핀 후, 이를 통해 드러난 소설적 특성과 주제의식을 프레임의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당대 민중의 시각을 작가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그 구체적 모습을 분석해 보았다. 작품을 해석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프레임 이론을 적용한 이유는 프레임이 개인의 생각을 주도하는 해석과 판단의 지배적인 준거 틀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작품이 탄생한 당시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민중들의 시각을 보다 면밀하게 살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도미설화>의 빈칸이 어떻게 채워지고 있는지, 표층에 드러난 서사 구조의 특징을 살폈다. 그 결과 <도미설화>는 도미와 개루왕으로 대변되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대립 구조를, 「아랑의 정조」는 아랑과 개루왕의 대립과 도미와 개루왕의 대립을 강화하는 구조로, 『몽유도원도』는 꿈과 현실의 대립 구조를 기반으로, ‘미인, 여경, 아랑’을 ‘대상, 주체, 매개’로 연결한 욕망의 삼각 구조로 변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미설화>는 그 구성에 상당한 ‘빈칸’이 드러나는데, 이러한 빈칸은 현대소설로의 변형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도미설화>의 소설화 작업은 본래의 설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의 재해석을 통해서 설화의 사실성을 ‘허구적 진실’이라는, 보다 사실적인 세계로 변용하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프레임을 통해 바라본 인물과 주제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도미설화>는 백제 민중의 전복 프레임을, 「아랑의 정조」는 일제강점기의 절개 프레임을, 『몽유도원도』는 1990년대의 욕망 프레임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미설화>는 창작되고 구전되는 과정에서 백제인의 가치관과 시대적 상황을 드러내는 프레임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으며, 이 프레임을 통해 백제인들의 삶과 시대인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백제 민중들은 개루왕의 실정에 대한 여론을 구전되는 텍스트로 만들었으며 도미 부부가 백제를 떠나 고구려를 향했다는 공간설정을 통해 백제 시대의 가고 고구려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프레임을 형성한 것이다. 「아랑의 정조」는 일제강점기에 우리 민족에게 요구되었던 민족정신의 발현이라는 프레임을 드러낸 작품이다. 박종화는 ‘아랑’의 매서움과 절개를 통해 딜레마에 빠진 우리 민족에게 어떠한 삶을 지향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장을 마련했다고 보인다. 이는 식민지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에게 민족주의라는 프레임을 형성하여 다소나마 위로를 전하고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해석의 장을 열어놓고자 하는 작가 정신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몽유도원도』는 1990년대 개인의 욕망이 관통하는 프레임을 반영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최인호는 인간의 무의식적 욕망이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로 떠오르는 사회적 변화를 날카롭게 포착하여 이를 프레임으로 인식하고, 여경이 보이는 욕망과 환상으로 재탄생시켰다. 꿈과 현실을 분리해서 인식하지 못하는 여경의 모습은, 현실 속에서 살면서도 늘 이상적인 세계로의 탈주를 꿈꾸는 현대인의 욕망을 상징하는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도미설화>는 백제인의 가치관과 시대적 상황을 드러내는 프레임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보이며, 「아랑의 정조」는 일제강점기의 민족정신을, 『몽유도원도』는 1990년대 거대담론이 사라진 시기에 개인의 욕망이 관통하는 당대의 현실을 제시하고 있다. 설화의 여백성과 변천성을 바탕으로 현대적으로 재탄생한 <도미설화>는, 그것이 창작되고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품을 창작한 주체의 가치와 시대의 프레임이 반영되어 사회·문화적 의미를 더욱 풍부히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trial to analyze 「The Chaste Woman, A-Rang」 of Park Jong-Hwa and 『Mongyudowondo』 of Choi In-Ho as novels that 「The Tale of Do-Mi」was accepted modernly. In this paper, firstly, grasping narrative structures of the literary works, structural expansion and transfiguration courses were examined. Through them, from comprehending novelistic properties and thematic consciousness in the view of frames, specific looks of how the writers reflected public viewpoints at those times were analyzed. The reason why the frame theory as an important method to interpret literary works is that frames act as Dominant reference standards in interpretation and judgment which lead personal thoughts. And, it is because the theory can be a method to closely look into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nd visions of general people at the times when the works were created. In chapter 2, to find out how blank spaces of 「The Tale of Do-Mi」 are fille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he literary works which were exposed in the surface layer were examined. At the result, their structures were transformed, such as conflict construction between rulers and subordinates in 「The Tale of Do-Mi」, conflict between A-Rang and King Gae-Ru and structure to strengthen the conflict in 「The Chaste Woman, A-Rang」, conflict structure between dreams and reality in 『Mongyudowondo』, and triangle structure of desire that ‘Beauty, Yeo-Gyeong, and A-Rang’ are connected as ‘object, subject, and mediation’. There are considerable ‘blanks’ in the construction of 「The Tale of Do-Mi」. The blanks made transfiguration into modern novels easier. Fictionalization of 「The Tale of Do-Mi」 can be said to be transformed into a more realistic world rather than to say that realism of tales is ‘fictional truth’ through reinterpretation of various elements which compose intrinsic tales. In chapter 3, characters that are seen from frames and also aspects of transformation of subject consciousness were examined. From the result, it could be known that 「The Tale of Do-Mi」mirror as frame of overthrow by general people of the Baekje Dynasty, 「The Chaste Woman, A-Rang」 reflects a frame of constanc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ngyudowondo』mirror as frame of desire in the 1990s. 「The Tale of Do-Mi」 faithfully played the role of the frame that values of people of the Baekje Dynasty and situations of the time are exposed. Through the frame, it can be known that the tale functioned as checking life and awareness of people of Baekje. General people of Baekje made public opinion against maladministration of King Gae-Ru the texturally transmitted. Via space setting that Do-Mi and his wife left the Baekje Dynasty for the Goguryeo Dynasty, a frame that the time of Baekje goes and the time of Goguryeo comes was formed. 「The Chaste Woman, A-Rang」 is a work to expose a frame of revelation of racial spirit which was demanded for Korean peopl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ark Jong-Hwa seemed to prepare a place of deep introspection for Korean people through poignant actions and constancy of ‘A-Rang’ about what life the people in a dilemma should head for. It can be fruit of spirit of the writer who tried to offer condolence and open a place of keen interpretation to Korean people against the sad reality by forming a frame called nationalism in the colonial situation. 『Mongyudowondo』 can be a work to reflect a frame that personal desire penetrated in the 1990s. Choi In-Ho captured social change that unconscious desire was rising as more important worth than anything else. And, he recognized it as a frame and recreated it into desire and illusion that Yeo-Gyeong showed. Looks of Yeo-Gyeong who did not distinguish dreams from reality can be a frame to symbolize desires of modern people dreaming of escaping into an ideal world although they live in reality.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빈칸 채우기-대립적 서사 구조의 강화와 욕망의 삼각형 구조로의 변모
3. 프레임을 통해 바라본 주제의식의 변모 양상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옥(Kim Min Ok). (2016).프레임으로 바라본 <도미설화>의 현대적 변용. 한국문학논총, 73 , 345-378

MLA

김민옥(Kim Min Ok). "프레임으로 바라본 <도미설화>의 현대적 변용." 한국문학논총, 73.(2016): 345-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