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이용수 344

영문명
Voice Onset Tim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종숙(Jong suk Park) 이영미(Young mee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343~35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말 운동통제 능력은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힘들며, 말소리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파열음의 조음위치와 발성유형에 따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성대진동시작시간(voice onset time, VOT)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말 타이밍 조절과 관련된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대전 및 충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3세부터 8세 사이의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검사 자료는 조음위치와 발성유형을 고려한 총 9개의 VCV음절을 사용하였다. VOT 측정을 위해서 CS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연구자가 목표 발화를 청취하면서 동시에 스펙트럼 분석 창을 이용하여 VOT를 측정하였다. 결과: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음위치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나서(p<.001), 연구개음의 VOT가 양순음과 치조음에 비해서 유의하게 길었다(all p<.001). 발성유형에 대한 주효과도 유의하여(p<.001), 격음의 VOT가 평음과 경음에 비해서 유의하게 길었다(all p<.001).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파열음 산출에 대한 후두와 구강 간의 타이밍 능력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양상으로 발달한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peech motor control skills in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FAD) have been studied. Voice onset time (VOT) is a tem-poral acoustic parameter that reflects motor speech coordination ski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OT of the VCV syllables which contain plosiv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s for children with FAD in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typical speech development (TSD).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FA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anging from 3 years and 11 months to 8 years and 11 months. Fifteen children with TSD as a control group were matched to the children with FAD on the basis of chronological age within ± 3 months. All children produced plosives in isolation and VOTs were measured by the CSL program. A three-way mixed design was used with the groups as a between-subject factor,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s as within-subject factors. Resul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Ts between children with FAD and children with TS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T among the place of articulation, showing that children had the longest VOT for velars (all p < .001). In addi-tion, the VOTs for aspirated consonants were longer than other consonant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mong three phonation types (all p < .001).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FAD can control the speech timing between the struc-tures of the larynx and the oral cavity at the same levels of children with TSD.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숙(Jong suk Park),이영미(Young mee Lee). (2016).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2), 343-354

MLA

박종숙(Jong suk Park),이영미(Young mee Lee).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2016): 343-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