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어증 환자를 위한 의미자질 이름대기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이용수 2082

영문명
Treatment Efficacy of Semantic Feature Analyses for Persons with Aphasia: Evidence from Meta-Analyse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오세진(Se Jin Oh) 엄보라(Bo ra Eom) 박채원(Chae won Park)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310~323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의미자질(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중재는 의미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단어 인출 능력을 향상시키는 실어증 이름대기 중재법으로 중재 명사에 있어서는 비교적 일관적인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일반화 효과에 대해서는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FA 중재를 실시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및 일반화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5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에 적합한 11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중재 및 비중재 명사와 자발화에 대해서는 Cohen's d와 개선율 차이(improvement rate difference)를, 표준화 언어검사에 대해서는 표준화된 평균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중재 명사에서는 중간에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SFA 중재가 이름대기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중재 명사에서는 낮은 효과크기가, 자발화에서는 측정치에 따라 다양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일반화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 검사에서는 전반적인 언어능력 향상에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이름대기 검사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SFA 중재가 이름대기 및 전반적인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치료법이나 비중재 자극으로의 일반화는 제한적임을 검증하였다. 이는 치료 및 일반화에 개입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추가적 연구와 더불어 임상적 차원에서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is a treatment to improve word retrieval ability by strengthening impaired semantic networks.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e efficacy of SFA treatment on trained items, but its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ained items, discourse production or standardized language measures are controversial. Through the use of meta-analyses, the current study aimed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treatment and generalization effects of SFA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Methods: A sys-tematic search based on 5 databases (DBPIA, RISS, EBSCOhost, ProQuest, PubMed) identi-fied 11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criteria.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Cohen's d and robust improvement rate difference for naming and discourse production. We ana-lyz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for standardized language measures.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for trained items, but small effect sizes for untrained items. For discourse production, effect sizes varied from small to large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come measures. SFA treatment approach contributed to improving overall language ability, but its generalization effects onto naming domains from standard-ized language tests seem to be limited. Conclusion: SFA treatmen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naming ability on trained items and increasing overall language ability. However, it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relatively limited for untrained items, discourse production and standardized naming t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consider several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treatment efficacy of a SFA approach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진(Se Jin Oh),엄보라(Bo ra Eom),박채원(Chae won Park),성지은(Jee Eun Sung). (2016).실어증 환자를 위한 의미자질 이름대기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2), 310-323

MLA

오세진(Se Jin Oh),엄보라(Bo ra Eom),박채원(Chae won Park),성지은(Jee Eun Sung). "실어증 환자를 위한 의미자질 이름대기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2016): 310-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