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휴머노이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구문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13
- 영문명
- The Effect of a Story Intervention on the Syntactic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using an Educational Humanoid Robo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한보연(Bo Yeon Han) 임동선(Dong sun Yim) 김영태(Young Tae Kim) 이수정(Su Jung Lee) 홍기형(Ki Hyung H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244~261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구문표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비언어성 IQ가 50-70인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범주성장애 3명을 연구대상으로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이야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휴머노이드 교육용 로봇에 이야기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구조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으로 이야기 중재를 진행하였다. 구문 표현 능력과 관련된 종속변인들은 매 회기마다 아동들이 말하는 이야기 말하기를 녹음하여 전사한 것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인은 평균이야기길이, 평균구문길이, 복문비율, 다른 결속표지 수이다. 결과: 중재 결과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이야기 말하기에서 평균이야기길이 및 다른 결속표지 수는 증가하였으나, 이야기 내에서 평균구문길이 및 복문 비율은 증가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로봇을 이용하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이야기 말하기에서 부분적이지만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것은 로봇을 언어치료 도구로써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지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yntactic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en using an educational humanoid robot for a story interv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3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y were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same grade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 ex-perimental, multi probe design was used across subjects. A story intervention program was loaded into the humanoid robot, called 'IROBI-Q'. The robot offered visual-auditory stimulation. Results: First, story intervention using the humanoid robot partially improved the children's syntactic skills. The length of story (mean C-unit) and use of different cohe-sive units increased, but the intervention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complex sentence ratio and mean syntactic length (mean morphemes in C-unit). Second, syntactic skills in narrative were generalized as demonstrated by other stimulations and another story as-sessment. The assessment was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children increased their length of story, mean morphemes in C-unit, and number of different cohe-sive devices except for the complex sentence ratio. Third, syntactic skills were maintained by the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a partially effective increase in the syntactic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se findings imply the feasibility of a humanoid robot as a language intervention tool.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령기 아동의 문법 표지 발달과 마음이론 간의 관계
- 언어장애아동 판별을 위한 구어 및 시공간적 작업기억의 효용성 탐색
- 읽기이해부진 중학생의 관용표현 이해능력
- 관용어 의미 유형과 친숙도에 따른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용어 이해 능력
-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정의제시 조건과 문맥제시 조건에 따른 비단어 의미 추론 특성
-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처리부담조건이 의미 및 음운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 구개열,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 및 음운, 표현어휘 발달 비교
- 휴머노이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구문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Tait 비디오 분석법을 사용한 와우이식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일반인의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비교
- 실어증 환자를 위한 의미자질 이름대기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 24-36개월 아동의 조음 변이성 연구
-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효과 예측변인 연구
-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자발화 분석 척도의 유용성
- 노화에 따른 명사, 동사, 형용사 정의하기 특성
- 섭식 지도에 관한 부모교육이 뇌성마비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작업기억 및 언어기억의 상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