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장애아동 판별을 위한 구어 및 시공간적 작업기억의 효용성 탐색

이용수 410

영문명
Exploring the Utility of Verbal and Visuospatial Working Memory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임동선(Dong sun Yim) 김영태(Young Tae Kim) 양윤희(Yoon hee Y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193~20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언어장애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아동의 구어, 시공간적 작업기억 과제 수행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조합이 표준화 언어검사에 준하는 판별력을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6세의 언어장애아동 18명, 생활연령을 일치한 또래 일반아동 18명 총 36명을 대상으로 구어적 작업기억(nonword repetition/sentence repetition/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시공간적 작업기억(Matrix) 과제 수행을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은 다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및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 차이가 유의했던 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SR)-단어 및 문장 점수', '경쟁 언어 처리 과제(CLPT)-단어회상 점수'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모든 과제들을 입력하였을 때, 일반아동을 일반아동으로 판별하는 특이도(specificity)는 94.4%, 언어장애아동을 언어장애아동으로 판별하는 민감도(sensitivity)는 83.3%로 원 집단 케이스 중 총 88.9%가 올바르게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장애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전제로 유용한 임상적 지표로 확인된 구어 및 시공간적 작업기억 과제들의 조합이 표준화 언어검사 결과에 준하는 높은 판별력을 지닐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e clinical setting, it is an important issue to find more efficient measures to identify language impairment equivalent to standardized language tests can be a useful tool in identification of language impairme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combination of verbal and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s can discriminate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from those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Method: A total of 36 children participated-18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LI) and 18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Participants completed verbal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NWR], sentence repetition [SR],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CLPT]),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 (Matrix). Multivariate analysi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Results: MANOVA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differences for SR, CLPT scores were significant. Discriminant analysis conducted with all measures (NWR, SR, CLPT, Matrix) showed good sensitivity (83.3%) and specificity (94.4%) in distin-guishing between TD and LI groups. Conclusion: Children with LI exhibited deficits in ver-bal tasks (SR, CLPT) rather than visuospatial task (Matrix) relatively. However, visuospatial ability was not correlated any standardized language test scores in LI group although their performance was not behind. Nevertheless, a combination of various working memory tasks can be a useful tool in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LI from their TD pee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동선(Dong sun Yim),김영태(Young Tae Kim),양윤희(Yoon hee Yang). (2016).언어장애아동 판별을 위한 구어 및 시공간적 작업기억의 효용성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2), 193-205

MLA

임동선(Dong sun Yim),김영태(Young Tae Kim),양윤희(Yoon hee Yang). "언어장애아동 판별을 위한 구어 및 시공간적 작업기억의 효용성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2016): 193-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