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운강석굴 상부 북위 불교사원지의 가람배치와 동서문화 교류

이용수 693

영문명
The Northern Wei temple layout at the Yungang Grottoes in China and east-west cultural exchan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은경(EunGyeng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2호,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운강석굴 상부 대지면에 위치한 불교유적지들은 발굴조사 내용이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이유로 인 해 유적지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혼동과 오류를 범하게 하고 있다. 이 유적지들은 중국 불교사원과 탑을 복원하는데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 에서는 발굴자료와 현지조사에 근거하여, 유적지들의 위치와 조사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특이한 가람배치를 보이는 제33굴 상부 사원지의 기원문제와 중국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불교사원지에서 동서문화의 교류가 이루어진 배경과 이 곳에 거주한 승려, 사찰이름에 대해 문헌기록, 고 고자료를 중심으로 추적하였다. 운강 제33굴 상부 불교사원지는 북위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장방형을 이룬 중정의 중심부에 탑이 위치하고 탑의 네 주변을 승방이 에워싸고 있는 가람배치를 보인다. 필자는 이러한 가람배치를 동시 기에 건립된 사원불사지, 영녕사지의 1탑1금당식 구조와는 차이점이 명확한 독립적인 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사원지의 전체적인 가람배치는 다소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간다라의 지상사원에서 기원처를 찾을 수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사원지에서 확인되는 다층 누각식 목탑과 판축의 건축공법 은 중국 전통적인 특징으로 추정된다. 결국 이 곳에서는 동서 불교문화가 서로 융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북위의 동서문화 교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점에서 중요하다. 필자는 운강석굴 개착공사의 책임자였던 담요스님이 거주한 통락사라는 사찰이름을 주목하여 그 위치를 추적한 결과, 운강석굴 상부 대지면에 소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담요는 석굴 공사를 총책임지면서 동시에 간다라, 서역 출신 승려들과 함께 이곳에서 역경작업을 하였던 것이다. 간 다라, 서역 승려들이 운강에 거주한 사실은 이곳의 불교사원에서 간다라적인 가람배치가 출현하 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후한대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면서부터 북위시대까지 확인되는 승원식 가람배치는 1탑1금당식 배치와는 다른 유형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왜냐하면 우리나라 고대 불교사찰의 가람배치 에서도 차후 발견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Despite its critical role as a source for restoration works on Buddhist temples and pagoda, the Buddhist sites located in the upper plot of the Yungang Cave(雲岡石窟)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this paper, location of sites and ful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field trip and excavation data are presented. In particular, this paper addresses issues regarding the origins of an unique temple layout and paintings of No.33 upper cave and assimilation into Chinese style. In addition, what caused the east-west cultural exchange in Buddhist temples and the monks who had resided here, are discussed,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stating temple names and archaeological data. It is thought that the Yungang Cave upper Buddhist temple site of cavern No.33 was estab¬lished in the Northern Wei Period. Pagoda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garden with a rectangular outline and surrounded by monk’s residential pavilions. This arrangement type is distinguished from the one pagoda-one Buddha hall system represented by the Siyuanfosi(思遠佛寺) and Yongning temple(永寧寺) sites. The origins of this temple layout can be sought in the Saidu and Takht-i-Bāhī temples of the Gandhara region. However, Yungang’s layout is different from that of Gandara and cen¬tral Asia where the monastery tended to have been separately placed from the area where pagoda was positioned. Although the pagoda at the Babar-khäna site Locality B of the Jandiāl temple and that of the Pippala temple site showing the location of the temple at the center with surrounded buildings is claimed to be the direct origin of the patterns at Yun¬gang. However, the time lag between the pagodas and monasteries, and overlapped various building foundations questioned the assumption suggested abov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ultimate origins of the entire layout of the Yungang temple is the overground temples of the Gandhara region, but the influence of Chinese brick-built ar-chitecture is detected in the multiple tiered castle-like wooden pagoda and the rammed- earth construction techniques which indicate the fusion of cultural styles between Gandha¬ra-esque aspects and those of China. This is important in that it reflects east-west cultural exchange of the Northern Wei dynasty. Considering the name of temple Tongle(通樂) where the monk, Tanyao(曇曜), responsible for construction of the Yungang cave, lived,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in the upper plot of the Yungang cave. While supervising the construction of the cave, Tangyo was thought to have been working on translation of Buddhist bibles with monks from Gandhara and the Western Regions. Thus existence of monks from Gandhara and the Western Regions may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appearance of the temple layout with the influence of Gand¬hara style. As the power the Northern Wei Emperor Taiwu(太武帝) had spread to the Western Regions, cultural exchange with the Western Regions had been highly intensified. Archaeological find¬ings in Datong(大同) region illustrate such social aspects of that time. Thus it seems natural that the Ganhara style temple layout had appeared in Pincheng region of the Northern Wei, considering its close relation with the Western Region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유적지의 종류와 성격
Ⅲ. 제33굴 상부 사원지의 가람배치 특징과 기원
Ⅳ. 사원지에서 확인되는 동서문화 교류와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EunGyeng Yang). (2016).중국 운강석굴 상부 북위 불교사원지의 가람배치와 동서문화 교류. 한국상고사학보, (92), 63-94

MLA

양은경(EunGyeng Yang). "중국 운강석굴 상부 북위 불교사원지의 가람배치와 동서문화 교류." 한국상고사학보, .92(2016):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