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이용수 725

영문명
Radiocarbon Dating and Old Wood Effect: An Experiment and Archaeological Assessment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황재훈(Jaehoon Hwang) 김장석(Jangsuk Kim) 이영선(Youngseon Lee) 이재용(Jaeyong Lee) 송아름(Areum Song) 김준규(Junkyu Kim) 박지영(Jiyoung Park) 양지원(Jiwon Yang) 양혜민(Hyemin Yang) 강승호(Seungho Kang) 오용제(Yongje Oh) 안승모(Sungmo Ahn) 최종택(Jongtaik Choi) 성춘택(Chuntaek Seong) David K. Wright 최선호(Seonho Choi) 현창호(Changho Hyu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2호, 117~14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목 효과란 목재의 14C를 사용해 연대 측정하는 경우 벌목 시점과 사용 및 탄화가 일어났던 시점 사이에서 연대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고목 문제를 처음 제기한 쉬퍼(1986)는 목재 시료의 연대 상향 의 가능성을 경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목재 특성과 용도를 비롯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된 탄소연대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고목 효과를 어떤 수준에서 이해하고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연구팀에서는 광명 가학동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대상으로 고목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목재 11점과 종자 시료 39점의 탄소연대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학동 1호주거지에서의 고목 효과는 통계적으로 볼 때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고는 이에 더하여 우리나라 전체 탄소연대 자료에서의 고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 유구 내 종자와 목탄의 공반 사례를 집성하여 양자 간 편차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고고학에서 고목효과가 근본적으로 개입되어 있지는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 다만, 원삼국~통일신라시대의 경우 목탄 이 종자에 비해 이르게 측정된 사례가 많은데 반해, 신석기~청동기시대 자료에서는 양자 간 편 차를 확인할 수 없었다. 목탄 연대치가 종자의 연대치보다 이른 모든 사례가 고목 효과인지 아니 면 다른 요인이 개입되었는지를 단적으로 판정할 수는 없지만, 원삼국-통일신라시대 자료에서 확인되는 종자와 목탄 간 편차는 고목 문제가 문화적, 환경적 조건에 따라 달리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ld wood effect refers to an error derived from difference between archaeological target date and radiocarbon dates of wood samples. Schiffer (1986) suggested that this effect would lead to radiocarbon dates older than target dates, and tha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aeological context of dated samples and measured date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o resolve this problem. To examine old wood effect, we compare radiocarbon dates of wood and bean samples found together in a house in Gahakdong settlement sites, Gwangmyeong. Our experiment shows that old wood effect is not involved in this case. We also collect dates of wood and short-lived plant samples co-found in the same context and compared them. It is suggested that the degree and frequency of old wood effect can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ntexts.

목차

요약
Ⅰ. 방사성탄소연대와 고목 효과
Ⅱ. 실험목표와 방법
1. 실험 목표
2. 실험 경과
3. 실험방법
4. 시료의 식물학적 동정
Ⅲ. 연대측정결과 분석
1. 측정결과 개요
2. 분석
Ⅳ. 고목 효과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1. 고고학적 맥락과 고목 효과
2. 수종과 기후에 따른 고목 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훈(Jaehoon Hwang),김장석(Jangsuk Kim),이영선(Youngseon Lee),이재용(Jaeyong Lee),송아름(Areum Song),김준규(Junkyu Kim),박지영(Jiyoung Park),양지원(Jiwon Yang),양혜민(Hyemin Yang),강승호(Seungho Kang),오용제(Yongje Oh),안승모(Sungmo Ahn),최종택(Jongtaik Choi),성춘택(Chuntaek Seong),David K. Wright,최선호(Seonho Choi),현창호(Changho Hyun). (2016).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92), 117-149

MLA

황재훈(Jaehoon Hwang),김장석(Jangsuk Kim),이영선(Youngseon Lee),이재용(Jaeyong Lee),송아름(Areum Song),김준규(Junkyu Kim),박지영(Jiyoung Park),양지원(Jiwon Yang),양혜민(Hyemin Yang),강승호(Seungho Kang),오용제(Yongje Oh),안승모(Sungmo Ahn),최종택(Jongtaik Choi),성춘택(Chuntaek Seong),David K. Wright,최선호(Seonho Choi),현창호(Changho Hyun).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92(2016): 117-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