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남아시아 고대국가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

이용수 540

영문명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management systems of the ancient states in mainland Southeast Asi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권오영(Ohyoung Kw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2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고대사회에서 수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의 성공여부는 국가의 운명이 걸린 중요 관심사였다. 이러한 양상은 건조지대나 몬순지대에서도 동일하다. 동남아시아의 고대국가인 푸난과 앙코르는 수자원을 성공적으로 관리하여 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꾀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재의 베트남 남부와 캄보디아에 위치하였던 푸난은 앙코르 보라이와 옥 에오라는 2개의 중요 거점을 갖추고 있었다.푸난의 성장 동력에 대해서는 대개 원거리 해상교역의 중요성을 들고 있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농업이었다. 앙코르 보라이와 옥 에오에 분포하는 많은 수의 운하, 수로, 저수지 등 수리시설은 방어, 농업, 운송, 교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캄보디아 시엠 립을 거점으로 성장한 앙코르 역시 대표적인 수리국가이다. 쿨렌산, 톤레삽 호수라는 자연조건을 최대로 활용하여 앙코르 평원을 성공적으로 관리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해자, 바라이, 운하와 수로, 저수지 등은 그 흔적이다. 표고차가 매우 적은 델타유역에서 급수와 저수, 배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한 점에서 수자원 관리체계의 수준은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동남아시아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를 고대 한국의 그것과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 하 지만 청동기시대 이후 환호취락의 발생, 수자원의 관리와 국가권력의 흥망성쇠 등은 양 지역이 공통적이어서 동남아시아의 사례에 대한 연구는 한국 고대의 수자원 관리체계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시사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Not only in ancient Korea but also in dry area and zone of monsoon climate, successful wa¬ter managemen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Funan and Angkor are the typical cases illustrating successful and develop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state. The Funan state located in southern Vietnam and Cambodia had two core centers called Angkor Borei and Oc Eo. Many scholars thought that the prosperity strategy of Funan had depended on mainly the distant maritime trade. However, agriculture management had also been considered important. The various irrigation facilities(canal, moat, channel, and reser¬voir) in Angkor Borei and Oc Eo wer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defense, agriculture, re¬distribution of products, and transportation. Angkor Empire in Seam Reap, Cambodia, was also a typical hydraulic state which success¬fully managed the Angkor Plain utilizing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Irrigation facilities (moat, baray, canal, channel, reservoir)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The level of water management systems of Angkor is considered to be highly advanced because they had effi¬ciently managed water supply, and storage and drainage practices on the flat Mekong Delta without a large height difference. Although it is not easy to directly compare irrigation facilities in Southeast Asia with those in Korea, there are some similarities such as the appearance of settlement with moat after the Bronze Age and state development process. Thus this study on the cases of Southeast Asia is expected to provide a background knowledge to understand water management systems of ancient Kore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푸난
1. 해상왕국 푸난
2. 앙코르 보라이
3. 옥 에오
Ⅲ. 앙코르
1. 수리도시국가 앙코르
2. 앙코르평야의 자연조건
3. 앙코르의 수리시설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오영(Ohyoung Kwon). (2016).동남아시아 고대국가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 한국상고사학보, (92), 5-33

MLA

권오영(Ohyoung Kwon). "동남아시아 고대국가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 한국상고사학보, .92(2016):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